박근혜 대통령이 24일 재계 총수들과 회동했다.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이 마무리됨에 따라 이들 센터를 지원하는 대기업 총수 17명을 청와대로 초청해 그간의 노력을 치하하고 새로운 결의를 다지는 간담회와 오찬을 가진 것이다. 박 대통령과 재계 총수 회동은 현 정부 출범 후 세 번째다. 하지만 재벌그룹과 정보기술(IT) 기업의 수장 17명을 한꺼번에 만난 건 처음이라는 점에서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박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창조경제로의 전환이 꼭 필요하다”며 혁신센터가 창업생태계의 구심점, 지역혁신의 거점, 대·중소기업 상생발전의 접점이 돼야 한다고 제시했다. 이를 위해 정부에서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으니 기업들이 적극적인 협조를 해달라고 당부했다. 특별히 강조한 건 고용 창출이다. 유망한 청년들에게 좋은 일자리가 많이 제공될 수 있도록 신규 채용에도 적극 나서달라고 주문한 것이다.
이번 회동의 초점은 경제 살리기다. 대통령 언급대로 한국경제가 직면한 성장의 한계를 돌파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재계의 협력이 절실하다. 지금 우리 경제는 수출 부진과 내수 침체로 저성장의 늪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젠 반전의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 정부로선 새로운 산업정책을 개발하는 한편 합리적인 규제 완화와 구조개혁에 박차를 가해 기업들이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해줘야 한다.
재계도 화답해야 한다. 적극적인 투자, 성장동력 발굴, 일자리 창출을 위해 가일층 노력해야 한다. 우리 경제를 이런 선순환 구조로 만들자는 게 바로 창조경제의 핵심이다. 위기 극복을 위해 재계가 기업가 정신을 발휘해 솔선수범할 때다. 국내 30대 그룹의 사내유보금이 1년 사이 40조원 가까이 급증해 올 1분기 말 710조원에 달한다고 한다. 기업으로서도 어려운 여건이겠지만 사내유보금을 풀어 과감한 투자와 고용 확대에 나서는 모습을 보고 싶다.
[사설] 기업은 투자·일자리, 정부는 구조개혁 책임져라
입력 2015-07-25 0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