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보원의 민간인 해킹 의혹을 둘러싸고 야권의 공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새누리당은 김대중정부 시절 국정원 공작 사건까지 거론하며 ‘맞불’을 놨다.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국민정보지키기위원장에 대한 집중포화도 지속했다.
새누리당 서청원 최고위원은 23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1998년도에 전 정권이 무슨 짓을 했는지 아나. 국회의원 30여명을 협박하고 도청해서 국정원장이 구속됐다”며 “자기들이 제발 저려서 그러는지 모르겠지만, 북한이 늘 우리를 공격하는 상황에서 이 문제로 언제까지 날 세우고 정쟁해야 하느냐”고 반문했다.
정보위원회 여당 간사이자 국정원 출신인 이철우 의원도 평화방송 라디오에 나와 “국정원에서 과거에 도청을 한 사건이 있었기 때문에 국민들이 우려하고 있지만 다시는 그런 일을 안 하겠다고 했다”면서 “정보기관의 사용자는 대통령이다. 지금 대통령은 ‘정치 사찰도 하지 마라’는 입장이어서 그런 걸 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새누리당은 원세훈 전 국정원장을 상대로 고발장을 제출한 안 위원장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높였다. 서 최고위원은 “안 의원은 국가정보 문제를 부풀리려는 생각을 하지 말아야 한다”면서 “해킹 전문가, 백신 개발자로서 이럴 때 자기가 국가와 국정원을 위해 문제를 좋게 풀어주고 국가를 도와줄 수 있는 행동을 할 때 국가 지도자, 그 분야 전문가로서 존경받을 수 있다”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안 의원이 좀 도와주는 게 더 좋지 않겠느냐는 것이 진심어린 생각이다. 일일이 공개 안할 것까지 다 하면 어떻게 되겠느냐”고 했다. 또 “남북이 대치하는 나라가 우리 하나인데 좋아할 사람이 북한 밖에 더 있겠느냐”고도 했다.
이 의원도 “명백한 잘못이 있어야 검찰이 조사를 하지 그냥 의혹만 갖고 검찰이 조사하면 누가 일을 할 수 있겠느냐”고 공격했다.
신의진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진상규명에 힘을 모아야 할 야당이 오히려 불신을 조장하고 있어 우려스럽다”며 “안 의원은 ‘안보에 대해서는 보수’라고 말했던 것을 잊었는가. 안 의원이 보안 전문가라면 국가 정보기관을 무력화시키는 데 앞장설 게 아니라 북한 사이버 테러 대비에 앞장서야 마땅할 것”라고 밝혔다. 김영우 수석대변인은 역시 구두 논평에서 “국가안보와 안위를 생각한다면 참으로 어이없는 일이고 무책임한 처사”라고 공격한 뒤 “제1야당으로서 자중해 달라”고 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관련기사 보기]
‘맞불’ 놓는 與… DJ정권 시절 국정원 공작 사건 거론
입력 2015-07-24 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