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정국’ 이후 중단됐던 고위 당정청회의가 22일 재개됐다. 지난 5월 15일 이후 68일 만이다. 서울 삼청동 총리공관에 모인 당정청 지도부는 노동시장 구조개혁을 속도감 있게 추진한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회의는 저녁식사를 겸해 진행됐다. 둥그런 탁자에 둘러앉은 이들은 회의 시작 전 서로 안부를 묻고 취임 축하 인사를 건넸다. 모두 노타이 차림이었다. 모두발언에선 ‘운명공동체’ ‘일심동체’ ‘팀워크’라는 표현이 여러 번 등장했다. 국회법 개정안 위헌 논란과 유승민 전 원내대표 사퇴 과정에서 불거졌던 여권 내홍이 언제 있었냐는 듯 화기애애한 분위기였다.
이날 핵심 의제는 노동개혁이었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21일 국무회의에서 “4대(공공 노동 금융 교육) 구조개혁은 정부 의지만 갖고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며 국회 협조를 당부한 이후 여권은 총력전에 돌입한 상황이다. 당정청은 고용·임금 체계의 경직성을 해소하고 노동자 간 차별과 비효율적인 근로조건을 개선한다는 원칙을 확인했다. 새누리당은 노동계와의 정책협의회를 재개하는 등 끊어진 소통 채널부터 복원하겠다는 뜻을 전달했다고 한다.
김무성 대표는 “개혁과제 하나하나가 이익단체의 강력한 저항에 부닥칠 수 있는 사안이 많다”며 “신중을 기하되 결기를 갖고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했다. 앞서 김 대표는 국회 의원회관 사무실에서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과 면담하고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앞 한국노총 천막 농성장을 찾았다. 한국노총은 노동시장 구조개혁에 반대해 무기한 농성에 들어간 상태다.
취임 후 처음 당정청회의에 참석한 황교안 국무총리는 “추가경정예산안은 국가경제와 국민을 위한 것인 만큼 이른 시일 내 통과될 수 있도록 당에서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다. 또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법안 처리도 시급한 상황”이라고 했다. 이병기 청와대 비서실장은 4대 부문 구조개혁과 관련해 “청와대는 하반기에 모든 역량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당의 지원 없이 정부가 성공할 수 없고, 정부 성공 없이 당의 미래도 밝지 않다”고 했다.
새누리당의 주된 역할은 노동계와 정부 간 중재, 대국민 홍보가 될 전망이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새누리당 간사인 권성동 의원은 “법 개정이 필요한 사안은 근로시간 단축과 통상임금 기준 조정 정도”라며 “나머지는 정부 정책으로 추진할 사안들”이라고 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68일 만에 마주앉은 고위 당정청… 분위기 시종일관 화기애애
입력 2015-07-23 0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