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영유권 분쟁 지역인 남중국해 스프래틀리 제도(중국명 난사군도) 부근 해역의 환경보호 등을 명분으로 과학연구기지, 관측소 등 각종 시설을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영유권 강화 의도가 담긴 것으로 베트남과 필리핀 등 주변국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인민일보는 22일 중국 국가해양국이 ‘국민경제 및 사회발전에 관한 제13차 5개년 계획(13·5규획, 2016∼2020년)’ 기간 동안 ‘난사군도 부근 해역 보호에 관한 계획’을 마련했다고 보도했다. 국가해양국은 난사군도와 주변 해역의 경우 생태환경이 기름 유출 사고 등으로 위협받고 있고 육지에서 거리가 먼 데다 기초시설과 공공서비스 기능이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앞으로 5년 동안 생태환경 감시 보호 등 서비스 수준 제고, 건강한 생태환경 보장, 해양 검측 및 예보 기능 강화, 생태 에너지 이용 확대 등을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해양과학연구센터, 해양생물 유전자은행, 생태 및 해양 관측소, 기름유출 사고 등에 대비한 응급처리센터 등 각종 기지와 시설을 설치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국 정부는 이번 조치에 대해 “국제 협약상 중국에 부여한 책임이자 의무를 다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중국은 난사군도 내 일부 암초에 간척과 활주로 건설 공사 등을 진행해 주변국들의 반발을 초래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은 ‘중국 위협론’을 부각시킨 일본의 방위백서에 대해 “중국의 정당한 군사력 발전과 해양 활동에 대해 왈가왈부했다”면서 “악의적으로 ‘중국위협’을 부각하고 인위적으로 긴장을 조성했다”고 비난했다. 일본 정부 대변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중국의 비판에 대해 “전혀 합당하지 않다”고 일축했다고 일본 언론은 전했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
中, 이번엔 남중국해 과학기지 건설 추진
입력 2015-07-23 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