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의 동생 박지만(57) EG 회장이 ‘증인으로’ 법정에 섰다. 줄곧 출석을 거부하다 재판부가 강제구인 조치에 들어가자 마지못해 응했다. 그는 ‘증인지원절차’를 통해 법관 전용 출입문으로 법정에 들어왔다 나갔다. 경찰 병력 1개 중대가 법원 주변에 배치돼 만일의 상황에 대비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8부(부장판사 최창영) 심리로 21일 열린 ‘청와대 문건 유출 사건’ 재판에서 박 회장은 조응천(53) 전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과 박관천(49) 경정의 기밀문건 유출 혐의에 대해 “모르겠다” “기억이 나지 않는다”는 증언을 반복했다. 조 전 비서관의 지시를 받아 박 경정이 박 회장의 측근 전모씨에게 기밀문서를 전달했다는 공소사실에 대해서도 “전씨가 (문건 내용을) 구두 보고는 했지만 내게 전부 전달했는지는 기억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난 서류 몇 장 안 봤다. 시력이 나빠 읽는 걸 좋아하지 않는다”고도 했다.
박 회장은 “나는 원래 정치권력이나 이런 것에 관심 없다. 조 전 비서관도 그걸 잘 알고 있는 분”이라며 “나를 이용해 뭘 한다는 것이 말도 안 된다”고 강조했다.
검찰이 ‘청와대에서 유출된 문건 17건을 본 기억이 있느냐’고 묻자 박 회장은 “기억이 잘 안 난다”면서도 “정윤회씨 관련 문건은 기억난다. 특이한 내용이 있었고 재밌어서 본 기억이 있다”고 말했다.
또 청와대의 ‘관리’ 때문에 사회활동에 제약을 받았느냐는 변호인 질문에는 “우리나라에는 대통령 친인척이 굉장히 조심스러운 부분이 많다”며 “(현 정부 집권기 동안) 집사람인 서향희 변호사가 잠시 일을 하지 않는 게 어떻겠느냐는 의견도 있었고, 집사람 역시 그걸 받아들였다”고 말했다. 이어 “덕분에 우리가 쌍둥이도 낳고 그랬다”고 말해 방청객의 웃음을 자아내기도 했다.
박 회장은 앞서 재판부의 증인출석 요청을 네 차례 거부하다 구인장까지 발부되자 자진 출석을 택했다. 박 회장은 법관들이 드나드는 법원 내부 통로를 이용, 외부인이나 취재진을 피해 법정에 모습을 드러냈다. 노타이 차림으로 증인석에 앉아 피고인석에 앉아있던 조 전 비서관과 눈인사를 나누기도 했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
박지만, 4번 거부 끝 증언 “정치권력 관심 없다”
입력 2015-07-22 0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