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소프트웨어 교육 청사진이 나왔다. 초등학생은 17시간 소프트웨어 기초교육을 받고, 중학생은 34시간 이상 프로그래밍을 배우게 됐다. 고교, 대학까지 관련 교육이 대폭 강화된다. 학생 부담이 가중된다는 교육계 반발이 있었지만, 소프트웨어 인력 양성에 필요하다는 산업계 의견을 수용했다. 관련 사교육이 기승을 부릴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교육부와 미래창조과학부는 21일 국무회의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사회를 위한 인재양성 추진계획’을 보고했다. 9월 고시되는 교육과정 개편을 통해 초·중·고교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강화하기로 했다.
초등학교는 ‘실과’ 과목 내 정보통신기술 단원(12시간)이 소프트웨어 기초교육(17시간)으로 확대된다. 중학교는 프로그래밍 등 관련 수업이 필수과목이어서 내신 성적에 반영되며 고교 입시에도 영향을 준다. 고교에서는 심화선택 과목이던 ‘정보’가 일반선택 과목으로 변경된다. 우수한 교육 모델을 확산시키기 위해 ‘소프트웨어 선도학교’가 올해 160개, 내년 900개로 늘어난다. 또 2020년까지 학교당 1개의 소프트웨어 동아리를 육성하기로 했다.
대학에서는 인문계 학생들을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기초교육을 확대한다. 올 하반기 8개 대학을 ‘소프트웨어 중심대학’으로 선정해 연간 최대 20억원을 지원키로 했다.
소프트웨어 교육 강화 논의는 지난해 7월 박근혜 대통령이 참석한 ‘소프트웨어 중심사회 전략보고회’를 통해 수면 위로 부상했다. 우수한 소프트웨어 인력 확충을 위해서는 관련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고, 박 대통령이 이를 수용했다.
한 교육대학 교수는 “낮은 급여로 격무에 시달리는 소프트웨어 산업 종사자의 처우개선 같은 정도(正道) 대신 엉뚱한 방법으로 산업 육성을 하려 한다”고 말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
소프트웨어 선도학교 900개로 늘린다
입력 2015-07-22 0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