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성능이 고품질 상향 평준화되면서 제조사들이 각자 개성 있는 색상 제품을 추가 출시하는 전략으로 소비자를 유혹하고 있다. 시간차를 두고 전혀 다른 색상의 제품을 선보여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 이후 얼어붙은 고가 단말기 교체 시장에서 소비자층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LG전자는 지난달 스마트폰 G4의 핑크, 오렌지 색상 천연가죽 커버를 추가 출시했다. 앞서 지난 4월 첫 출시 당시에는 브라운, 블랙, 스카이블루, 레드 네 가지 색상의 천연가죽 커버와 메탈릭그레이, 세라믹화이트의 3D 패턴 커버 등 총 6종의 색상을 선보였다. 출시 초반에는 G4의 핵심 기능과 카메라 모듈, 천연가죽 소재 등이 주목을 받아 상대적으로 색상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적었었다. 실제로 LG전자 자체 조사 결과 출시 초반에는 G4 구매 고객의 약 60%가 20∼40대 남성인 것으로 집계되기도 했다. LG전자는 여기에 핑크, 오렌지 같은 포인트 색상을 추가해 여성 소비자를 공략하는 등 소비자 폭을 넓히겠다는 전략이다.
삼성전자는 전통적으로 그레이나 실버, 블랙 등 심플한 색상에 특정 이동통신사 전용 단말기를 포인트 색상(레드 등)으로 출시했었다. 하지만 갤럭시S6는 화이트펄, 블랙사파이어, 골드플래티넘으로 지난 4월 10일 출시됐고, 한 달여가 지난 5월 18일 블루토파즈, 그린에메랄드(엣지) 등을 추가로 내놨다. 기존 갤럭시S6의 심플한 색상과는 전혀 다른 느낌을 줄 정도로 강렬한 색상으로 출시된 것이 특징이다.
갤럭시S6는 갤럭시 시리즈 중 가장 많은 색상으로 출시됐을 정도로 컬러가 중요한 판매 전략이 됐다. 삼성전자는 출시 초반부터 두 가지 색상이 추가될 것이라고 예고해 소비자들의 기대를 높였다. 제품 색상을 추가하며 삼성전자는 블루토파즈, 그린에메랄드 색상을 강조하는 ‘컬러 스튜디오’를 한시적으로 운영하는 등 색상 체험 마케팅에 나서기도 했다.
애플은 오는 9월 선보일 아이폰6S를 로즈골드(핑크) 색상을 추가할 것으로 알려졌다. 아이폰6S는 기존 아이폰6와 디자인은 동일하지만 성능이 다소 개선될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웨이보에는 최근 네티즌이 조합한 것으로 추정되는 로즈골드의 아이폰6S 후면 사진이 올라오기도 했다. 아이폰6는 스페이스그레이, 실버, 샴페인골드 등 세 가지 색상으로 출시됐었다.
스마트폰 제조사가 시간차를 두고 컬러를 추가 출시하는 것은 출시 초반 수요를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이라는 측면도 있지만 출시 이후 다소 가라앉은 시장 분위기를 반전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기획] 성능 평준화, 색깔로 승부한다… ‘컬러마케팅’ 뜨거운 스마트폰 업계
입력 2015-07-21 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