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직원 의문의 죽음] 새누리 “정치권 압박에 극단 선택… 사실 확인 우선”

입력 2015-07-20 02:47
국회 정보위원회 새누리당 간사인 이철우 의원(왼쪽)과 같은 당 박민식 의원이 19일 여의도 당사에서 해킹 프로그램 의혹과 관련된 국가정보원 직원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구성찬 기자

새누리당은 국가정보원 직원 자살 사건에 대한 야당의 의혹 제기와 관련, “사실관계 확인부터 해야 한다”고 반박하고 나섰다. 야당의 ‘불법 해킹’ 의혹 제기가 정치쟁점화를 시도하려는 무리한 주장이란 논리다.

김영우 수석대변인은 19일 여의도 당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정치권은 국정원과 관련된 이슈만 불거지면 무조건 의혹부터 제기하고 압박하기 일쑤”라며 “진중함과 인내심을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대변인은 “최근 정치권이 국정원을 압박하는 상황에서 (국정원 직원의 자살 사건이) 발생했다는 점에서 안타까움이 더 크다”고 말했다.

새누리당은 국회 정보위원회 차원에서 조속히 국정원 ‘현장검증’을 실시해 의혹을 해소할 것을 촉구했다. 정보위 여당 간사인 새누리당 이철우 의원과 정보위 소속 새누리당 박민식 의원이 브리핑을 갖고 의혹 차단에 팔을 걷어붙였다. 이들은 “국정원 직원이 자살하기 전 삭제한 자료가 모두 복원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국내 사찰 흔적 등을 지우려는 의도가 아니었다는 점을 강조하려는 것이다.

또 스스로 목숨을 끊은 국정원 직원은 ‘개인적 문제’가 없었지만 자신이 사용한 해킹 프로그램이 정치적 문제로 비화되자 압박감에 극단적 선택을 할 수밖에 없었다는 게 이 의원의 설명이다.

새누리당은 야당이 국정원 직원의 자살에 대한 정치 도의적 책임을 져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내국인이나 선거와 관련한 사찰이 없었다는 국정원을 향해 ‘아니면 말고’ 식 공세를 퍼부어 화를 자초했다는 것이다. “떳떳한데 왜 극단적 선택을 했느냐”는 야당 공세를 되받아친 셈이다. 당 핵심 관계자는 “야당이 충분한 팩트(사실) 확인도 안 하고 의혹 제기에만 몰입해선 안 된다”고 했다.

박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왜, 무슨 근거로 이 사람(국정원 직원)을 중대 범죄자로 규정했나”고 썼다. 그러면서 지난 17일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가 “스마트폰 불법 해킹으로 국민의 일상을 감시하고 민주주의와 인권을 유린했다”고 말한 데 대해 “문 대표님, 뭐라고 답을 해 달라”고 날을 세웠다.

정치권의 무분별한 의혹 제기로 “국정원의 손발을 묶어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장윤석 의원은 언론 인터뷰에서 “국정원장도 불법을 해서 범죄를 저질렀다면 교도소로 보낸다”면서도 “대북 정보를 얻기 위해, 또 경쟁하는 세계적 환경 속에서 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해킹 프로그램이든 위성이든 특별한 기구를 사용하는 것 자체를 나무랄 일은 아니다”고 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