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1학년 박희순(13)양과 초등학교 5학년 이재희(11)양은 인도네시아 초대 대통령 하지 무하마드 수카르노를 소개하는 자료를 만들고 있었다. 이름, 활동시기, 가족관계 등 인물정보와 함께 업적, 일화, 명언을 각 종이에 인도네시아어로 또박또박 적었다. 색색의 펜으로 그림도 그려 넣었다. 명언을 소개하는 말풍선에는 ‘꿈을 하늘 높이 걸어라’라는 뜻의 인도네시아어가 큼직하게 들어갔다.
이 수업은 어머니나 아버지가 다른 나라 출신인 학생들이 제2 모국의 위인에 대해 배우는 시간이었다. 박양과 이양은 인도네시아가 제2의 모국이었다. 각자 어머니가 그곳에서 나고 자랐다.
18일 서울 동대문구 한국외국어대 대학원 건물에서 ‘LG와 함께하는 사랑의 다문화 학교’ 언어인재 양성과정 3기 7월 캠프가 열렸다. 2010년 시작된 이 과정은 언어에 재능이 있는 다문화가정 학생을 뽑아 2년간 제2 모국어와 그 나라 문화를 배울 수 있게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이양은 “교육에 참여하기 전에는 ‘불 꺼’ ‘불 켜’처럼 간단한 말만 알아듣는 수준이었다”며 “요즘은 엄마랑 인도네시아어로 대화하면서 강아지를 키우게 해 달라고 한다”고 말했다. 박양도 “전에는 인도네시아어로 숫자 정도만 말할 수 있었는데 지금은 인도네시아에 계신 외할머니, 외할아버지를 만나면 좀 더 많은 얘기를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했다.
3기생은 지난해 3월부터 교육을 받았다. 중국어 9명, 일본어 8명, 몽골어 6명, 베트남어·인도네시아어 각 4명 등 31명이다. 학생들은 초등학교 5학년∼중학교 3학년으로 서울과 경기·인천 외에도 충남 천안과 충북 음성, 전북 순창, 전남 목포, 대구, 경북 안동 등 각지에서 선발됐다.
목포에서 이른 새벽 KTX를 타고 올라온 중학교 3학년 김승민(15)군은 어머니가 일본 시가현 출신이다. 김군은 “여름방학 때마다 일본에 가는데 외할머니랑 대화하려면 엄마를 거쳐서 통역을 해야 했다. 외할머니와 직접 얘기해보고 싶어서 일본어를 배우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박종대(33) LG다문화학교 팀장은 “언어 습득뿐 아니라 어머니를 이해하게 됐다는 학생이 많다. 다문화가 상당한 경쟁력이라는 사실을 깨닫고 자부심을 갖게 되는 것도 이 교육의 성과”라고 전했다.
이날 캠프는 오전 9시30분부터 오후 6시까지 회화 수업, 문화·위인 학습, 기말고사, 학부모 간담회, 해외연수 사전설명 순으로 진행됐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
“어머니의 나라 가면 통역 없이 외할머니랑 직접 얘기 할래요”… ‘LG와 함께하는 사랑의 다문화 학교’
입력 2015-07-20 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