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수는 급격히 줄고 있고 고령화도 심각한 상황이다. 2000년대 말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과 사료값 폭등 등으로 ‘직격탄’을 맞은 뒤 갈수록 쪼그라들고 있는 것이다.
한우(육우 포함), 젖소, 돼지, 닭 등 4대 축종 농가 수는 2006년 21만3200가구였지만 지난해에는 11만7900가구로 절반가량 줄었다. 축산농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한우농가가 같은 기간 19만 가구에서 10만4000가구로 줄어든 것이 주요 원인이다. 미국 호주 등 FTA로 값싼 외국산 쇠고기가 대거 들어와 한우 소비량이 감소하면서 한우 사육을 포기하는 농가가 늘고 있다.
축산농 고령화도 심각한 상황이다. 축산 분야 65세 이상 고령화율은 44.3%로 2명 중 1명은 노인이다. 이들 고령 축산농의 승계자 확보율은 14.7%에 불과하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10년 후 축산농가 수는 또 다시 반 토막 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농촌경제연구원 허덕 선임연구위원은 “지난해 10만4000가구인 한우농가 수는 19년 후 5만5000가구로 줄어들 수 있다”고 전망했다. 특히 축산업은 각종 환경규제 등으로 신규 진입이 어렵고 초기 투자자본이 많이 들어 귀농인들의 축산유입 비율이 매우 낮은 실정이다.
전국한우협회 민경천 전남지회장은 19일 “지난주 이양희 사료협회장과 4대 사료 회사 대표가 와서 ‘사료 담합이 아니다’고 우겨서 ‘한우농가는 반 토막 났는데 사료 회사는 수익이 나지 않느냐’고 따졌다”며 “담합을 저지른 사료 회사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소송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종=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
[사료업계 편드는 정부] 10년 전의 절반으로 급감 10년 후 다시 반토막 우려
입력 2015-07-20 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