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 재정보호 방안으로 장기요양보험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진료심사평가위원회 이종철(사진) 박사가 사회보험제도로 건강보험과 장기요양보험을 운용하는 한국, 일본, 독일의 재원확보 시스템을 비교 연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이 박사는 미국 볼티모어 존스홉킨스블룸버그대학 건강정책관리학부 게라드 앤더슨 교수팀과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결과는 세계 최대규모 의학·과학기술 전문 출판사 엘스비어(Elsevier)가 운영하는 온라인 학술지 ‘건강정책’ 최신호에 게재됐다.
이 박사팀은 한국, 독일, 일본이 사회보험제도로 건강보험과 노인장기요양보험을 도입한 배경, 시기, 재원확보 및 운영시스템을 비교했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건강보험 재정안정화 방안을 도출했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건강보험은 노령화 사회적, 재정적 문제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전에 노인장기요양보험을 적극 활용해 재정안정을 도모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증가하는 고령인구를 장기요양보험 적용대상으로 적극적으로 흡수, 장차 건강보험이 떠안게 될 재정부담을 덜어줄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이 박사팀은 또 장기요양보험을 통해 급성기 환자 치료수요를 줄이면 건강보험 재정지출을 줄일 수 있고, 요양시설 확대로 신규 고용창출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 박사는 “고령화 사회에선 건강보험과 장기요양보험의 적절한 조화로 재정안정을 도모해야 한다”며 “노인인구를 장기요양보험 및 요양시설 확대 정책으로 수용해 건강보험의 재정불안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건강보험 재정보호 ‘장기요양보험’ 활용 바람직”… 심평원, 이종철 박사 비교 연구
입력 2015-07-21 0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