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해킹 의혹] 野 “면죄부 얻기 위한 꼼수” 與 “안보 장사”

입력 2015-07-18 03:28
새정치민주연합은 국가정보원이 17일 스마트폰 해킹 프로그램 사용기록을 공개하겠다는 입장을 발표했음에도 강공 태세를 풀지 않았다. 되레 “면죄부를 얻기 위한 꼼수”라고 비난하며 공식 조사위원회 출범과 관련 자료 분석에 착수했다.

그동안 언급을 자제해 왔던 새누리당은 이 프로그램이 ‘대북 감시’라는 국정원 본연의 목적을 위한 것이라며 반격을 시작했다. 야당의 도·감청 의혹 제기를 ‘정치쟁점화를 위한 안보장사’로 규정하고 국정원 현장 방문도 적극 제안했다.

◇전면전 나선 새정치연합=새정치연합은 국정원이 해킹 프로그램 사용기록을 공개키로 한 것에 대해 의구심을 보이며 정확한 분석을 위해 사용기록 전체를 넘겨달라고 요구했다. 김성수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단순히 국정원을 방문한 정보위원들에게 사용기록을 보여주는 수준이라면 면죄부를 얻기 위한 꼼수”라며 “실질적인 진상규명을 위해서는 오염되지 않은 사용기록을 넘겨받아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국정원 방문 시 전문가 동석도 요구했다.

새정치연합은 국민정보지키기위원회 첫 회의를 열고 ‘진상규명 소위’와 ‘제도개선 소위’를 설치키로 하는 등 본격 활동에 나섰다. 당장 이탈리아 ‘해킹팀’에서 유출된 400GB 분량의 자료분석 작업에 착수했고, 여의도 중앙당사에 ‘국민 휴대폰 해킹 검진센터’를 설치하는 등 여론전도 나섰다.

문재인 대표는 취임인사차 예방한 김현웅 법무부 장관에게 검찰 수사를 주문했다. 전병헌 최고위원은 “국정조사나 특검 등 모든 방법을 동원해 진상을 규명하고, 관련 상임위 5개도 적극 개최해야 한다. 상임위 차원에서 청문회도 관철해야 한다”고 했다.

◇반격 나선 새누리당=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오전 주요당직자회의를 주재한 뒤 기자들과 만나 “국가 안위를 위해 해킹할 필요가 있으면 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과연 그게 정쟁거리가 될 일인지 언론이 판단해 달라”고 말했다. 원유철 원내대표도 “국가 정보기관이 국가 안위와 국민 안전에 대해 정보전쟁을 하고 있는데 (야당이) 너무 드러내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국회 정보위 여당 간사인 이철우 의원은 주요당직자회의에서 “(해당 프로그램은) 여러 나라의 정보·수사기관이 구입했다”며 “미국 연방수사국(FBI)과 국방부는 물론 스위스 룩셈부르크와 같은 인권 국가도 모두 구입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야당이 현장(국정원)을 가자고 하는데 정보기관을 방문하는 나라는 우리나라밖에 없다”면서 “그럼에도 의혹 해소차 현장조사를 하자고 야당에 약속한 것”이라고 말했다.

박민식 의원 역시 “대한민국 전문가라는 안철수 의원이 마침 야당의 (국민정보지키기위원회) 위원장이 됐으니 ‘특위’나 ‘국정조사’로 시간 끌지 말고 국정원에 같이 가서 확인한 뒤 진상을 밝히라”고 촉구했다. 김영우 수석대변인은 국정원을 향해 “국가 안보와 안위를 위해 비밀스럽게 정보를 다루는 기관이 해킹 프로그램 구입 여부를 쉽게 확인해주는 게 맞는 일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하기도 했다.

전웅빈 최승욱 기자 imung@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