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 벌써부터 공천갈등 ‘삼각 쓰나미’

입력 2015-07-18 02:46
‘김상곤 혁신안’ 후폭풍이 계속되는 가운데, 새정치민주연합 내에서는 벌써부터 총선 공천 문제로 소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일각에서는 오는 9∼10월쯤 공천 갈등이 ‘쓰나미’처럼 밀려올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공천 갈등 벌써 점화되나=당 안팎의 이목이 가장 집중된 곳은 ‘선출직 공직자 평가위원회’다. 당내에서는 혁신위가 총선 공천에 반영키로 한 ‘의정활동 평가’와 ‘교체지수’의 기준 및 반영 비율을 놓고 불만의 목소리가 터지고 있다. 수도권의 한 재선 의원은 17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혁신위가 세운 획일적 기준을 모든 지역구에 적용한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된다”며 강한 거부감을 드러냈다. 호남의 중진의원도 “말은 그럴듯하지만 결국 ‘호남 물갈이’하겠다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여부도 ‘뜨거운 감자’다. 박영선 전 원내대표와 이석현 국회부의장 등 찬성론자들은 전면 도입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범친노(친노무현)계로 분류되는 강기정 정책위의장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개인적으로는 20%의 전략공천을 유지해야 공정성과 신인 충원이란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기존 당론을 재확인했다. 문제는 김상곤 혁신위원장과 상당수 혁신위원들이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에 반대 의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오픈프라이머리 관련 당내 의견 통일이 여당과의 합의점 마련보다 더 어려워 사실상 도입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이런 와중에 ‘중진 희생론’까지 등장해 온라인 설전이 벌어졌다. 30대 혁신위원인 이동학 위원은 지난 15일 당내 ‘86그룹’(80년대 학번·60년대생)을 대표하는 이인영 의원에게 ‘쉬운 지역구’를 버리고 ‘적진’에 출마할 것을 공개적으로 요구했다. 이 의원은 다음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당 혁신 방향이 올바른 가치를 추구할 수 없다면 제가 다른 지역구에 출마한들 어떤 보람이 있을지 모르겠다”고 응수했다.

◇‘알맹이’ 빠진 4차 혁신안=혁신위는 부산에서 ‘지역분권 강화’를 강조한 4차 혁신안을 발표했다. 기초단체장과 광역·기초의원 공천권을 시·도당에 이양하고, 최고위가 이를 수정 의결할 수 없도록 못 박는 것이 핵심이다. 시·도당에 지급되는 국가보조금 비율도 현행 10%에서 20%로 올리기로 했다.

하지만 당초 예정됐던 ‘당 정체성 확립 방안’은 이번 발표에서 제외됐다. 이를 두고 혁신위가 20일 예정된 중앙위원회에서 기존 혁신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논란이 될 만한 내용을 빼고 발표한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이에 대해 혁신위 임미애 대변인은 “혁신위 내 합의에 이르지 못해 발표가 연기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혁신안에 대한 당내 우려는 점점 커지고 있다. 비노(비노무현)계 중진 박주선 의원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국민이 (혁신안에) 동의하지 못하는 상황이 오면 탈당도 불사하겠다”고 했다. 그는 20∼30명의 현역 의원들이 자신과 함께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고 덧붙였다.

최승욱 기자, 부산=문동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