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 ‘내부 갈등’ 우려 전전긍긍

입력 2015-07-17 03:08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회가 4차 혁신안에 당 정체성 확립 방안을 포함시키지 않기로 했다. 발표 내용에 따라 ‘좌클릭’이냐 ‘우클릭’이냐 하는 논쟁이 촉발되는 등 혁신안에 대한 반발 기류가 고조될 것을 우려한 선택이다.

혁신위는 17일 공개될 예정인 4차 혁신안에 전국정당화 및 분권 강화 등의 내용을 담을 방침이라고 16일 밝혔다. 혁신위 워크숍이 지방인 부산에서 개최되는 점을 고려한 선택이다. 이와 관련해 혁신위는 기초자치단체장과 광역의원 후보를 시·도당에서 직접 뽑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중앙당에 집중된 권한을 점차 분산하겠다는 복안이다.

다만 논란이 됐던 당 정체성 확립 방안은 제외됐다. 기존 혁신안에 대한 당내 반발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이를 더욱 ‘부채질’할 필요는 없다는 판단에서다. 이석현 국회부의장은 정책조정회의에서 “최고위원제 폐지안 상정을 총선 이후로 유보하자”며 “미리 상정해서 분란을 겪을 필요가 없다”고 했다. 그는 이어 “혁신안에 대한 비주류의 불신이 깊다. 당무위원회를 통과한 안에 대해서도 굉장히 논쟁이 많다”고 당내 분위기를 전했다.

혁신위는 정체성 혁신안이 ‘진보’냐 ‘보수’냐 하는 논쟁을 유발할 경우 기존에 내놨던 혁신안조차 지키지 못할 수 있다고 우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혁신위 관계자는 “20일 예정된 중앙위원회에서 사무총장제 폐지 등 1∼2차 혁신안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당초 혁신위는 당 정체성 확립을 위해 이념 논쟁에서 벗어난 ‘민생을 향한 저(低)클릭’ 기조를 내세우기로 했었다. 불필요한 당내 논란에 휘말리지 않겠다는 전략이다. 이와 관련, 혁신위의 다른 관계자는 “혁신안이 어느 정도 진보적 방향일 수밖에 없을 것 같다”며 당내 갈등을 유발할 소지가 있다는 우려를 표했었다.

한편 당 윤리심판원은 지난 13일 당무위원회가 의결한 정청래 의원에 대한 재심사 요구와 관련해 심층 검토를 거쳐 다음달 12일 결론짓기로 했다. 심판원은 ‘비노 세작’ 발언으로 심판원에 회부된 김경협 의원에 대해서는 당직 자격정지 3개월의 징계를 의결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