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8961억 추경 편성… 서민경제 살린다

입력 2015-07-17 02:56

채무감축을 위해 허리띠를 졸라맸던 서울시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로 인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돈을 풀고 1000억원의 빚까지 냈다.

서울시는 감염병 방역체계 개선과 침체된 관광시장 및 서민경제 회복을 위해 8961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 시의회에 제출했다고 16일 밝혔다.

올해 추경은 전년보다 2개월 정도 앞당겨 편성했고, 규모는 기존 예산 대비 3.5% 증가했다. 자치구 교부금, 교육청 전출금 등 의무경비를 빼면 실제 집행되는 사업비는 5089억원이다. 추경에 필요한 돈은 2014년 순세계잉여금과 취득세 증가 등 세입조정 외에 지방채를 1000억원 발행해 조달한다. 서울시는 우선 공공의료 확충과 감염병 방역체계 개선, 메르스 피해보상 등에 501억원을 배정했다.

세부적으로 감염병 전문병원 신축 타당성 조사 용역비 3억원, 시립병원의 음압시설 및 의료장비 확충, 응급실 개선에 121억원, 감염병 진단체계 강화를 위한 보건환경연구원 검사장비 구입에 42억원을 쓰기로 했다. 또 특수구급차 확보, 선별진료소 마련 등 보건소 기능을 강화하는 데 161억원, 메르스 치료에 앞장선 의료기관 지원에 155억원, 시립병원 면회접견실 및 공동간병인 확보에 18억원이 각각 배정됐다.

시는 메르스 여파로 침체된 관광시장의 조기 정상화를 위해 관광분야 예산을 연초 208억원에서 440억원으로 47% 늘렸다. 구체적으로 중국·동남아 대상 광고 등 서울 글로벌 마케팅 예산을 122억원 증액하고, 국제 트래블마트(관광 교역전) 개최에 5억원을 신규 편성했다. 침체됐던 문화예술계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255억원이 배정됐다.

시는 또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의 경영을 정상화하는 데 1589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시는 앞서 메르스로 직·간접적 피해를 본 소기업, 소상공인 대상 긴급 대출자금 2000억원을 지원한데 이어 추가 지원을 위해 중소기업육성기금을 1089억원 확대 편성하고, 서울신용보증재단 출연금 132억원을 추가로 반영했다. 또 전통시장 활성화에 166억원, 중소기업 및 도심제조업 상품 판매 촉진에 17억원, 영세 봉제업 및 동대문 패션상권 활성화에 20억원이 투입된다.

이와 함께 메르스 피해 업종인 관광·문화 종사자 및 저소득층 공공일자리 창출을 위해 100억원, 음압장비 등을 갖춘 전염병 전용 특수구급차량 구입 등 소방·재난 및 사회안전망 구축에 842억원이 편성됐다. 서울시는 시의회에서 추경안이 확정되는 대로 연내 집중 집행할 계획이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