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과 김무성 대표를 비롯한 새누리당 지도부가 16일 “당정청은 하나”라고 합창했다. 지난 2월 이후 5개월 만에 이뤄진 당청회동은 거부권 정국으로 쌓인 앙금을 털어내고 당청관계의 정상 복원을 선포하는 자리였다. 회동은 박 대통령과 김 대표의 독대를 포함해 총 55분간 진행돼 긴 시간은 아니었지만 서로 속내를 털어놓고 묵은 오해를 풀기에는 충분한 시간이었다고 할 수 있다.
박 대통령은 회동에서 자신의 주장을 내세우기보다 주로 당의 의견을 들었다고 한다. 박 대통령은 광복 70주년 특별사면 때 경제인도 포함시켜 달라는 건의를 받고 “당의 건의 내용도 함께 검토하겠다”고 밝히는 등 당의 의견이나 건의를 존중하는 모양새를 취했다. ‘배신의 정치’ 발언 때의 수직적 당청관계 모습은 찾아볼 수 없다. 박 대통령이 ‘국민 중심의 정치’를 당부하자 김 대표는 “대통령의 성공을 위해 우리가 당에서 책임지는 자세로 같이하도록 하겠다”고 호응했다.
두 사람이 밝힌 대로 당청관계가 유지된다면야 더할 나위가 없다. 그러나 회동의 결과물이 말잔치로 끝나서는 아무 소용없다. 행동과 실천으로 이어져야 국정 운영의 추동력이 생기고, 이반한 국민 신뢰도 회복할 수 있다. 처리가 시급한 국정 현안들이 수북하다. 침체된 경기를 끌어올리기 위한 추경안은 발등의 불이 됐고, 메르스 후속대책도 차질 없이 마련해야 한다. 공공 노동 교육 금융 4대 개혁과 24개 국정 핵심 과제 역시 유기적인 당청관계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완수하기 어렵다. 유기적 당청관계는 소통에서 나온다. 다음주쯤 열릴 것으로 보이는 고위 당정청회의가 그 출발을 알리는 시작점이 돼야 할 것이다.
국정을 책임진 대통령과 여당 대표의 만남은 잦을수록 좋다. 수시로 만나 국정 현안을 논의해야 한다. 이번처럼 큰 일이 터지고 난 뒤에 만나는 사후약방문식 회동이 주가 돼서는 곤란하다. 이날 회동에서 두 사람이 필요할 때 언제든지 수시로 만나기로 했다니 그나마 다행이다. 차제에 과거 주례회동처럼 대통령과 여당 대표 회동을 정례화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겠다. 그랬다면 유승민 사태 같은 당청 간 불협화음을 미리 막을 수도 있었다고 본다.
박 대통령은 여당 못지않게 야당과의 소통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 당청이 아무리 찰떡공조를 과시해도 새정치민주연합의 협조를 받지 못하면 국회 문턱을 넘을 수 없는 현안이 부지기수다. 싫든 좋든 새정치연합은 머리를 맞대야 하는 국정의 파트너다. 대야 관계를 여당에만 맡기는 건 무책임하다. 대통령만이 할 수 있는 역할이 분명 있다. 새누리당도 대통령·여야 지도부 회동을 건의한 마당이다. 박 대통령은 문재인 새정치연합 대표와의 만남도 주저하지 말아야 한다.
[사설] 당·청관계 회복 이후 과제 또한 소통과 개혁이다
입력 2015-07-17 0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