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포스코 고강도 구조개혁 통해 재도약 계기 붙잡아야

입력 2015-07-17 00:54
위기의 포스코가 고강도 쇄신안을 내놓았다. 권오준 회장이 15일 발표한 쇄신안에는 계열사 및 해외 사업 대폭 축소, 책임 및 윤리 경영 도입, 거래관행 개선, 대대적인 문책 인사 등 선택할 수 있는 거의 모든 방안이 망라돼 있다. 그중에서도 단연 눈에 띄는 것은 현재 47곳인 계열사를 2017년까지 22곳으로 대폭 줄인다는 내용이다. 이를 바탕으로 전체 사업 구조를 철강 중심으로 재정립하겠다는 것이다. 정준양 전 회장 시절 방만하게 늘려온 계열사 규모를 원래 상태로 되돌린다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 창립 이래 회장이 경영쇄신안을 직접 밝힌 것은 처음이다. 그만큼 안팎의 사정이 절박하다는 뜻이다. 벼랑 끝에 몰렸다는 인식이 포스코 내부에도 팽배하다고 한다. 한때 ‘국민의 기업’으로 불렸던 포스코가 어쩌다 이 지경에까지 이르렀는지 안타까울 따름이다.

쇄신안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흔들림 없는 철저한 실천이 가장 중요하다. 선언과 실행이 따로 놀아서는 안 된다. 고통이 따른다는 이유로 대충 겉핥기식으로 하다가는 그야말로 치명적인 쇠락의 위기에 봉착할 수 있다는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쇄신을 주도하는 권 회장의 리더십 복원 역시 시급하다. 오늘날 포스코 위기의 상당 부분이 세계 철강경기 침체, 검찰 수사 등 외부 요인 탓이란 설명이 설득력 있지만 권 회장의 리더십 부재에서 비롯된 것임도 또한 부인할 수 없다. 작년 3월 취임 당시부터 제기됐던 경영 능력 우려가 가시화됐다는 지적을 결코 가벼이 여겨서는 안 되겠다. 철강 연구·개발 전문가일 뿐 아니라 능력 있는 경영자임을 권 회장 스스로 성과로 보여줘야 한다.

포스코에 대한 검찰 수사도 이른 시일 내에 마무리돼야겠다. 4개월 이상 고강도 수사를 했으면 이제 결론을 낼 때가 됐다. 더 이상 질질 끌면 어떤 의도가 있다고밖에 볼 수 없다.

아울러 포스코에 더 이상 정치권의 외풍이 휘몰아쳐서는 안 되겠다. 사실 포스코 위기의 원인(遠因)은 정치권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회장을 자기사람으로 심고 영향력을 행사하니 경영이 제대로 될 리 없다. 모쪼록 이번을 계기로 포스코가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고 세계 최고의 철강 기업으로 거듭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