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이 올해 2분기 해양플랜트 부문의 손실 반영 등으로 2조∼3조원 단위의 적자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해양플랜트 사업 등에서 손실이 뒤늦게 반영된 결과다. 이에 대우조선은 고강도 구조조정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채권단은 자율협약·워크아웃을 포함한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대책을 검토하고 있다.
15일 대우조선의 최대주주인 산업은행과 금융 당국 등에 따르면 대우조선이 2011년 수주한 해양플랜트를 포함해 그동안 실적에 반영되지 않은 손실이 2조원 규모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산업은행 등은 대우조선이 2분기 최대 3조원까지 영업손실을 기록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대우조선은 2011년 반잠수식 시추선 4척을 척당 6000억원에 수주했지만 건조기간이 지연되면서 큰 손실을 본 것으로 알려졌다. 자회사로 자본잠식 상태인 루마니아의 망갈리아조선소 부실도 실적에 반영될 것으로 관측된다.
전임 경영진이 연임을 위해 재임기간 중 발생한 부실을 재무제표에 제대로 반영하지 않았을 수 있다는 의혹도 제기된다. 금융 당국과 채권단은 대우조선해양의 분식회계 의혹을 들여다볼 예정이다. 대우조선은 지난해 4700억원대의 영업이익에 330억원의 순이익을 낸 것으로 실적을 발표했다.
정성립 사장은 지난달 25일 취임 이후 첫 기자간담회에서 2분기 해양플랜트 사업의 손실을 예고한 바 있다. 정 사장은 “작년에 현대중공업과 삼성이 상당히 많은 적자를 발표했는데 대우조선만 잘하고 있었을까 하는 의문이 있었다”며 “부임 후 가장 먼저 회사의 실상을 파악했는데 해양 쪽에서 어느 정도 손실을 보고 있었다는 것은 파악이 됐다. 결과가 나오면 2분기 실적에 자연스럽게 반영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우조선의 부실 의혹은 금융권에도 불똥이 튀고 있다. 대우조선과 관련한 제1금융권의 익스포저(위험노출액)는 총 14조6000억원 규모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대우조선이 워크아웃을 추진하면 은행권이 상당한 부담을 떠안을 전망이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
대우조선 2분기 최대 3조 적자낼 듯
입력 2015-07-16 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