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산하기관에 도 공무원 출신의 낙하산들이 대거 연임형식으로 ‘알박기’를 하고 있어 관피아 척결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경북도 고위간부로 퇴직한 이들은 업무의 전문성과 연속성, 경북도와의 협조체계 유지 등을 명분 삼아 산하 기관장이나 간부로 내려간데 이어 연임을 통해 ‘알박기 관행’까지 만들고 있다는 지적이다.
다음달 말 3년 임기가 끝나는 이진관(61) 경북도 환경연수원장의 경우 1년 연임 내정설이 기정사실화 되고 있다.
경북도는 이 원장의 연임 사유에 걸맞는 공적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도 핵심 관계자는 “이 원장의 가정이 궁핍해 1년만 임기를 연장하는 것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행정지원국장으로 근무하던 2012년 돌연 명퇴를 선언해 그 배경을 두고 말들이 많았다.
김용대(63) 경북도립대 총장은 대학 개교 이래 연임한 첫번째 케이스다.
경북도 행정부지사를 역임한 김 총장은 2009년 3월∼2013년 2월 경도대 5대 총장을 맡은 후 2013년 3월부터 6대 총장직을 수행하고 있다.
경북도는 ‘대학경쟁력 강화와 교육품질 인증대학 선정’을 이유로 김 총장의 연임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재근(65) 경북도체육회 사무처장도 비슷한 경우다. 이 처장은 2009년 1월부터 2013년 1월까지 4년 임기를 채운 후 다시 4년의 임기를 맡고 있다. 경북도 체육회장은 김관용 경북지사이지만, 실질적인 권한은 이 사무처장이 행사한다.
현재 경북도 산하기관 중 공무원이 대표 자리를 맡고 있는 곳은 한국한방산업진흥원과 경북그린카부품진흥원, 경북도경제진흥원, 경북도문화재연구원, 경북해양바이오산업연구원, 경북행복재단, 경북도청소년진흥원, 경북장학회, 경북농민사관학교, 경북도장애인체육회 등이다.
경북도의 한 간부공무원은 “도 본청 내 일부 세력들의 자기식구 챙기기와 나눠 먹기식 인사가 도를 넘은 느낌”이라며 “더구나 퇴직 공무원의 생계까지 챙겨 연임을 추진하는 것은 소도 웃을 일”이라고 꼬집었다.
대구=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낙하산도 모자라 알박기까지? 경북도 관료 출신 산하기관장, 업무 연속성 명분 잇따라 연임
입력 2015-07-16 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