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이 핵무기 제조 의혹을 사고 있는 군사시설에 대한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사찰을 받아들이고 핵 개발 활동을 축소하기로 했다. 미국 등 국제사회는 내년부터 이란에 대한 경제제재를 해제하기로 했다. 이로써 13년을 끌어온 이란 핵 협상이 타결됐다. 1979년 혁명 이후 미국과 적대관계를 유지해온 이란이 36년 만에 미국과 관계 개선을 하게 됐다.
미국 등 주요 6개국(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독일)과 이란은 14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빈에서 전체회의를 열고 이 같은 합의안에 서명했다.
합의안에 따르면 IAEA가 이란의 군사시설을 포함해 핵무기 제조가 의심되는 모든 시설을 사찰할 수 있게 됐다. 또 신형 원심분리기를 중심으로 한 이란의 핵 기술 연구·개발(R&D)은 나탄즈 시설로 한정하고 이란이 공개하지 않았던 포르도 농축 시설에선 농축·연구·핵물질 저장을 금지키로 했다. 이란은 향후 10년간 나탄즈에서 신형 원심분리기의 우라늄 농축을 할 수 없고 다단계 방식이 아닌 최고 2단계까지의 기계적 실험이 허용된다.
이란에 대한 미국과 유럽연합(EU)의 경제·금융 제재는 IAEA 사찰 결과가 나온 뒤 이르면 내년 초 해제될 예정이다.
핵 활동 제한과 관련한 협상안을 이란이 이행하지 않을 경우 65일 안에 제재가 복원될 수 있도록 하고 유엔의 무기 금수 조치는 5년간, 탄도미사일 제재는 8년간 유지하기로 했다.
미국은 이번 핵 협상으로 이란의 핵무기를 만들 수 있는 기간이 2∼3개월에서 최소 1년 이상 늦춰졌으며, 이란의 전반적인 핵 활동은 10년 이상 억제됐다고 평가했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이란 핵협상 타결…모든 핵의심 시설 IAEA 사찰
입력 2015-07-15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