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은 14일 국정원의 스마트폰 해킹 프로그램 구매 의혹과 관련, “2012년 1월과 7월 이탈리아의 해킹업체로부터 모두 20명분의 리모트컨트롤시스템(RCS) 소프트웨어를 구입했다”면서도 “우리 국민에게 사용했을 경우 어떠한 처벌도 받겠다”고 밝혔다.
이병호 국정원장은 국회 정보위원회의 전체회의에 출석해 “대북·해외 정보전을 위한 기술 분석 및 연구·개발용으로 소프트웨어를 구매했다”고 말했다고 정보위 여당 간사인 새누리당 이철우 의원이 전했다.
국정원은 “국내 민간인 사찰이나 선거에 활용하기 위한 용도라는 의혹이 사실이 아니다”고 거듭 강조했다. 소량의 소프트웨어를 구매한 점이 이를 입증한다고도 했다. 국정원은 외국에 있는 북한 공작원과 북한 무기 거래상 등을 대상으로 해킹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북한 공작원 등을 주요 대상으로 한 만큼 불법성은 있을 수 없고 스위스를 비롯한 ‘인권 국가’ 등도 이 소프트웨어를 쓰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정원은 스마트폰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인 카카오톡에 대한 해킹 가능 여부를 이탈리아 업체에 문의한 사실을 인정했지만 “북한 공작원들이 카카오톡을 쓰고 있어서 이에 대한 문의를 하고 기술 개발을 하기 위해 (이탈리아 업체와) 이메일을 주고받았다”고 해명했다.
국정원은 “북한이 최근 2만5000대의 우리 국민 휴대전화를 해킹해 금융 정보를 빼갔다”며 “이런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고자 국제사회에 통용되는 최신 기술을 연구해야 했다”고 했다. 또 미국 연방수사국(FBI)을 비롯해 35개국 97개 정보·수사기관에서 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다고도 했다. 이들 기관은 이런 의혹이 제기되더라도 국가안보상 ‘노코멘트’로 일관한다고 국정원은 전했다.
그러나 새정치민주연합은 2012년 대선을 앞둔 민감한 시점에 해킹 프로그램이 구입된 점 등에 대해 의구심을 거둘 수 없다는 입장이다. 정보위 야당 간사인 새정치연합 신경민 의원은 “국정원 측 설명만으로는 (사실관계를) 확정지을 수 없어서 이른 시일 내 국정원 현장을 방문해 이와 관련해 확인을 하는 절차를 밟기로 했다”고 말했다. 여야 합의를 통해 국정원을 방문, 해킹 소프트웨어가 사용된 20명이 누구인지 등을 파악할 예정이다.
새정치연합은 국정원 해킹 의혹과 관련해 당내 특별조사위를 꾸려 진상조사에 나서기로 했다. 또 많은 국민이 사용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해킹 시도 여부 등을 조사하기 위한 ‘국정조사 카드’도 검토 중이다. 당 관계자는 “국정원 해명을 그대로 믿기 어려운 정황이 있는 만큼 진상규명 활동을 이어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경택 문동성 기자 ptyx@kmib.co.kr
국정원 “스마트폰 해킹 SW 구입은 사실… 국민에 사용 안해”
입력 2015-07-15 0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