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동시 국민경선” vs “현역만 유리, 반대”… 새정치 오픈프라이머리 갈등

입력 2015-07-15 02:20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왼쪽)가 14일 서울 양천구의 한 호프집에서 소상공인들과 간담회를 갖는 자리에서 점심식사로 김밥과 치킨을 먹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전날 ‘김상곤 혁신안’을 놓고 계파 갈등을 노출했던 새정치민주연합이 이번엔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의 ‘여야 동시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도입 제안을 놓고 제각각 대립된 의견을 분출했다.

대표적 찬성론자인 박영선 의원은 14일 MBC라디오에 출연해 “오픈프라이머리를 도입하지 않으면 대한민국이 선진국으로 가기 상당히 힘들지 않겠느냐”며 “새누리당 김 대표가 말로만 그치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박 의원이 제안하는 ‘톱투 오픈프라이머리’ 방식은 사실상 전략공천을 배제한다. 여야가 같은 시일만이 아니라 같은 장소에서 동시에 국민경선으로 총선 후보를 결정하자는 것이다.

그러나 최재성 사무총장은 다른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오픈프라이머리는 현역(의원들)에게만 절대적으로 유리하다”며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사무총장 자리는 내년에 치러질 총선 후보 공천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친노(친노무현)계인 최 사무총장의 반대 의사는 곧 당 주류 견해로 굳어질 가능성이 높은 셈이다.

‘해체 수준의 당 혁신’을 공언했던 김상곤 혁신위원장 역시 부정적 반응이었다. 그는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국민에게 공천권을 준다는 게 의미는 있지만 기득권을 유지하고 신인의 진입을 어렵게 하는 현실적 한계가 있다”고 했다.

앞서 새정치연합 공천혁신추진단은 지난 4월 여야 합의에 따른 법 개정 시 오픈프라이머리를 도입하겠다는 공천 원칙을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추진단이 밝힌 오픈프라이머리는 완전국민경선제가 아니라 전략공천 비율을 20% 유지하는 것이다.

최승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