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찾는 중국인 관광객은 늘고 있지만 이들의 재방문 비중은 줄고, 체류 기간도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4일 ‘중국 관광객 유치 활성화를 위한 대응 과제’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히며 “중국인 관광객의 지속 가능한 유치를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방한 중국인 관광객은 2001년 48만명에서 2014년 613만명으로 연평균 21.5% 증가했다. 그러나 재방문자 비중은 2011년 14.8%에서 2014년 11.6%로 감소했다.
중국인 관광객의 체류기간은 2011년 10.1일에서 2012년 7.5일, 2013년 7.1일, 2014년 5.7일로 매년 짧아지는 추세다. 관광활동 또한 쇼핑에 치우쳐 있으며 방문 권역도 서울·제주에 제한돼 있는 실정이다.
보고서는 해외로 여행을 떠나는 중국인이 2014년 1억명을 돌파하면서 일본 태국 등에서도 유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태국의 경우 고소비층 중국인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정부가 저가 패키지 상품을 근절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경쟁국인 일본은 중국인을 대상으로 단체관광객 비자·복수비자·가족관광비자 등을 발급하는 혜택을 제공하고, 항공노선 확충과 소비세 면세제도 확대 등 다양한 정책을 펴고 있다.
장병권 호원대 교수는 “양적 확대에서 질적 혁신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중국인 관광객 유치 정책 기조를 선회해야 한다”며 “쇼핑관광과 바가지요금에 의존하는 저가 여행 상품을 근절하고 중국의 고소비층인 20, 30대 신세대를 대상으로 한 상품 개발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승주 기자 sjhan@kmib.co.kr
유커 재방문·체류기간 갈수록 줄어든다… 재방문자 비중 11.6%로 ‘뚝’ 체류기간 5.7일로 반토막
입력 2015-07-15 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