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13일 광복 70주년을 맞아 특별사면을 시행하겠다고 밝히자 재계는 환영의 뜻과 함께 기대감을 숨기지 않았다.
재계는 지난 9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전국경제인연합회회관에서 긴급 간담회를 연 뒤 30대 그룹 사장단 명의로 ‘경제난 극복을 위해 기업인들에 대한 사면이나 가석방을 검토해 달라’고 정부에 공식 요청했다. 가뭄과 메르스 등으로 침체된 경기를 살리기 위해 재벌 총수에 대한 사면 카드를 적극 활용하자는 것이다. 송원근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경제가 어려운 만큼 국가경제에 기여를 했고 투자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분들에게 기회를 줄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한 것”이라며 “그런 측면에서 기대감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해당 기업은 사면 관련 공식적인 입장 표명을 자제하고 있다. 사면 대상과 범위도 정해지지 않았고, 대통령의 고유 권한인 사면에 대해 기업이 왈가왈부할 경우 오히려 역풍을 맞을 수 있기 때문이다.
SK그룹과 한화그룹은 “사면에 대한 그룹 차원의 공식적인 입장은 없다”고 말을 아꼈다. 그러나 재계는 이미 2년6개월째 복역 중인 최태원 회장이 이번 사면 논의 시 경제인 중 가장 먼저 거론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정·재계 전반에 오랜 기간 모범적인 수형생활을 하고 있는 최 회장에 대해 ‘이제는 현업에 복귀시킬 때가 됐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기 때문이다.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도 올해 초 최 회장 형제의 사면을 공식 건의한 바 있다.
김승연 회장도 사면이 되면 대표이사나 계열사 이사로 복귀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이 경우 그룹 전반과 계열사에 대한 김 회장의 책임경영이 보다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9월 2심에서 징역 3년형을 선고받고 상고해 대법원의 최종 판단을 기다리고 있는 이재현 회장과 관련해 CJ그룹은 “경제위기 극복 등 차원에서 기업인들의 사면이 적극 검토되는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재계 관계자는 “사면을 통해 경제계 전반에도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통합의 정치가 이뤄지길 간절히 바란다”고 희망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8·15 특사] 전경련 “투자 활성화 등 기대” 해당 기업들은 역풍 경계 ‘조심’
입력 2015-07-14 0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