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말에 서투른 중국 출신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해 중국어와 한국어를 함께 쓰는 ‘이중언어 교실’이 운영된다. 다음달부터 5개월 동안 서울지역 초등학교 10곳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해보고 성과가 좋으면 중학교와 고등학교로 확대될 예정이다.
서울교육청은 13일 이런 내용의 ‘세계시민·다문화교육 정책’을 발표했다. 시범학교는 다문화 학생이 밀집한 구로·금천·영등포구 등을 중심으로 선정할 예정이다. 시범학교에는 한국 국적자로 국내 4년제 대학에서 중국어를 전공했거나, 중국어에 능숙한 이중언어 강사 25명을 배치할 계획이다. 이 강사들은 담임이나 교과교사를 보조해 수업 시간에 중국어를 모어(母語)로 쓰는 학생을 돕는다. 또 각종 체험활동과 방과 후 수업에서 중국어를 기반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일반 학생들에게는 중국어 학습 기회를 제공하기로 했다.
조희연 서울교육감은 “(다문화교육) 정책의 효과와 이에 대한 의견을 바탕으로 학교급과 지역 특성에 맞는 중장기 정책을 수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교육청은 베트남어 등 다른 언어의 이중언어 교실을 설치하는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또 평화·인권·다양성 등 보편적인 가치에 관한 지식과 책임감을 가르치는 세계시민교육 교과서를 개발하기로 했다. 국가 교육과정과 연계해 세계시민교육을 체계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경기·강원·인천교육청과 공동 집필진을 구성해 교과서를 만들 방침이다. 교육청 관계자는 “학생들이 인류 보편의 가치를 내면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다문화·세계시민교육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
다문화 학생 위해 초교서 韓·中 이중 언어교실 운영… 서울교육청, 내달 10곳 대상
입력 2015-07-14 0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