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주·완주·정읍이 ‘농·생명 융합’과 ‘융·복합 소재부품’ 분야를 특화산업으로 하는 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13일 연구개발특구위원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전북연구개발특구 지정안을 심의 의결했다고 밝혔다. 연구개발특구 지정은 대덕(2005년), 광주·대구(2011년), 부산(2012년)에 이어 5번째다.
전주·완주·정읍 일대에 15.9㎢ 규모로 조성되는 이 특구는 정읍·완주지역을 연구 거점으로, 전주와 전북혁신도시는 사업화 촉진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역할을 분담했다.
완주군은 전주과학단지와 완주테크노밸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복합소재기술연구소 등을 기반으로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 등 융·복합 소재 연구의 중심 역할을 한다. 정읍시는 첨단과학산업단지와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 등과 함께 글로벌 방사선융합기술(RFT)·생명공학(BT) 등의 연구개발에 집중한다. 전주·전북혁신도시는 창업·기술사업화·지식서비스 거점으로 조성돼 농생명과학연구 허브, 탄소 등 융·복합 소재 응용 제품의 생산 기지를 역할을 맡는다.
미래부와 전북도는 이번 특구 지정으로 2021년까지 1만명 이상의 고용 유발과 300여개 신규 기업 입주 등 5조5000억원 이상의 경제 파급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전주·완주·정읍 ‘농·생명 융합’ 연구개발 특구 지정
입력 2015-07-14 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