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묵 인물화로 유명한 김호석(58) 작가는 다섯 살 때부터 붓을 잡았다. 독립운동가로 활동한 할아버지의 영향으로 서예를 배우고 사군자를 치기도 했다. 50년 넘게 그림을 그려온 셈이다. 1999년 국립현대미술관 최연소 ‘올해의 작가’로 이름을 알리고, 초·중·고 미술교과서에 10여점의 그림이 실려 있기도 하다. 그의 인물화는 작품성과 대중성에서 정평이 나 있다.
경남 김해 봉하마을 노무현 전 대통령의 사저에 걸려 있는 한복 입은 노 전 대통령의 초상화와 안경을 낀 다산 정약용 초상화 등을 그렸다. 그런 그가 이번에 세월호 참사와 윤모 일병 구타사건을 소재로 한 그림 전시를 8월 16일까지 서울 성북구 고려대박물관에서 연다. 전시 제목은 ‘틈,’이다. 틈이 벌어진 우리 사회를 한걸음 벗어나 바라본다는 의미에서 ‘틈’에 쉼표를 더했다.
작가는 5·18민주화운동 등을 주제로 한 역사화도 작업했다. 그는 “한때 그림이 사회를 변혁시킬 수 있다고 믿었지만 이제는 그림이 사회 속에 녹아 들어가 작은 틈을 메웠으면 한다”고 말했다. 전시에서는 그의 말대로 세월호 참사의 아픔이나 군대 내 폭행으로 사망한 윤 일병 사건의 여파를 상징적으로 그려냈다.
그는 세월호 참사 이후 팽목항을 네 번 다녀왔다. “어느 날, 유가족처럼 보이는 한 사람이 밤에 낚시를 하고 있더군요. 사람이 죽었는데 물고기를 잡을 정신이 어디 있겠나 생각했지요. 그 사람은 이내 물고기를 잡아 올리고 한참을 바라본 뒤 다시 놓아주더군요.” 밤바다가 울렁거리며 울고 있는 상황을 ‘물고기는 알고 있다’라는 작품에 담았다. 물고기와 호랑나비가 입을 맞추는 그림이다.
‘내음으로 기억되다’는 윤 일병 사건을 떠올리며 그린 작품이다. 군부대에서 보내온 소포상자가 보이고 여기서 옷을 꺼내 든 한 여성이 코로 냄새를 맡고 있다. ‘자식인 줄 알았는데 허공이었다’는 주름 많은 손으로 끌어안은 누군가의 뒷모습을 희미하게 그렸다. 작가는 “군대에서 자식을 잃은 처절한 슬픔을 이겨내고 극복하는 모습을 표현하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전시에는 최근 발생한 두 사건을 은유적으로 그린 신작과 함께 청와대에서 작업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얼굴 없는 초상화 등 50여점을 내놓았다.
변영섭 전 문화재청장(고려대 교수)은 ‘핍진한 필력으로 맑은 생명을 불어넣다’라는 제목의 전시 서문에서 “끊임없는 관찰과 연구, 작가로서의 치열한 자기성찰을 통해 생명의 순환을 전하고 있다”고 평했다.
이광형 문화전문기자 ghlee@kmib.co.kr
고려대 박물관, 김호석 초대전 ‘틈,’ 개최… 세월호 참사와 윤일병 사건을 그리다
입력 2015-07-14 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