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1주년을 앞둔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긍정적이다. 파국으로 치달았을 여권의 위기를 여러 차례 무난히 넘겼다는 것이다. 특히 두 차례나 여당에 불리한 정국에서 재보선이 치러졌음에도 승리한 것은 그를 유력 차기 대선주자 반열에 올렸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김 대표에게는 ‘큰 숙제’도 남겨져 있다. 바로 자신이 공언했던 ‘건강한 당청 관계’와 거리가 먼 ‘수직적 당청 관계’만 남았다는 비판이다. 또 유승민 전 원내대표 사퇴 문제로 금이 간 당내 갈등을 봉합하고 내년 총선을 승리로 이끌어야 할 ‘막중한 임무’도 안고 있다.
김 대표는 지난해 7·14전당대회에서 친박(친박근혜) 후보였던 서청원 최고위원을 큰 표차로 따돌리며 집권여당 수장으로 뽑혔다. 이후 청와대 비선실세 의혹 사건과 ‘성완종 리스트’ 파문, 이완구 전 총리 낙마, 메르스 사태 등 줄줄이 터진 악재에 골머리를 앓았다.
김 대표의 가장 큰 공(功)은 여권에 유리하지 않은 국면에서 재보선 승리를 거머쥐었다는 점이다. 세월호 참사 여파 속에서 치러진 7·30재보선에서 새누리당은 지역구 15곳 중 11곳을 획득했다. 여권 실세들의 비리 의혹인 ‘성완종 리스트’ 파문 와중에 실시된 4·29재보선에선 지역 밀착형 후보를 내세워 4곳 중 3곳에서 승리했다.
김 대표의 사회통합 행보도 주목을 받았다. 김 대표는 지난 5월 여당 대표로는 처음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6주기 추도식에 참석했다. 5·18민주화운동 전야제에 참석했다가 시민들이 항의하며 뿌린 물을 맞고 행사장에서 물러나는 일을 겪기도 했다.
김 대표는 박근혜정부의 숙원 과제로 여겨진 공무원연금 개혁에도 팔을 걷어붙였다. 그는 지난해 10월 새누리당 소속 의원 전원의 서명을 받아 당론으로 공무원연금 개혁 법안을 발의했다. 또 비주류 지도부 체제에 대한 일각의 우려를 불식시키려는 듯 정부의 경제 활성화 기조에도 보폭을 맞추는 행보를 이어갔다.
그러나 당청 관계가 순탄하지 않았고 계파 갈등이 수그러들지 않은 것은 김 대표에게 뼈아픈 대목이다. 김 대표는 지난해 10월 이른바 ‘상하이 개헌 봇물’ 발언을 한 지 하루 만에 “제 불찰”이라며 박근혜 대통령에게 사과했으나 청와대 측은 “말실수로 보지 않는다”며 불쾌감을 표출하기도 했다.
유 전 원내대표가 청와대와 친박 진영의 압박으로 사퇴하는 과정에서 “청와대 눈치 보기에 급급했다”는 비판을 받은 부분도 김 대표로선 부담스럽다. 이에 앞선 당내 조직 재정비와 당직 인선 과정에서도 친박 주류와 파열음을 낸 바 있다. 김 대표 측 의원은 12일 “아슬아슬한 위기 상황에서 당의 분열을 막기 위한 김 대표의 노력은 평가할 만하다”고 했다.
김 대표의 최대 과제는 내년 총선 승리를 위한 전열을 정비하는 것이다. 당내 분란을 막고 총선 승리에 견인차 역할을 할 경우 김 대표는 명실상부한 여권의 차기 대선 후보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김 대표 자신이 정치생명을 걸고 밀어붙이는 ‘오픈 프라이머리’(국민 공천제) 성공 여부도 그의 향후 행보에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당장은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문제에 협조적이지 않은 야당을 어떻게 설득할지가 그의 리더십을 평가하는 가늠자가 될 것으로 보인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재보선엔 연전연승, 당청갈등엔 속수무책… 與 ‘김무성 체제’ 1년 성과·과제
입력 2015-07-13 0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