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9일 투자활성화 대책을 발표했지만 핵심 대책의 경우 현실적으로 시행되기 어려워 기대했던 효과를 거두기 힘들 것이란 예상이 나오고 있다.
정부가 발표한 이번 투자활성화 대책의 핵심 과제 중 하나는 결합건축제다. 2개의 대지를 하나로 간주해 서로 인접한 건축물의 주인들이 재건축 시 용적률을 거래할 수 있도록 한 제도다. 처음 나온 대책은 아니다. 서울시는 2011년 성북2구역과 신월곡1구역을 결합개발하려 했다. 구릉지로 법정 용적률을 전부 적용하기 어려운 성북2구역의 용적률을 인접한 신월곡1구역으로 옮겨 적용한다는 방안이었다. 그러나 두 구역의 주민들이 용적률 거래에 따른 보상 규모에 합의하지 못하면서 계획은 무산됐다. 국토교통부도 지난해 6월 이 제도 도입을 검토한다고 밝힌 바 있지만 토지가격이 크게 상승하고 용적률 장사를 위해 땅을 미리 확보하는 일이 벌어질 것이라는 반대에 부닥쳤다.
이미 실효성이 떨어지고 반대에 부딪힌 제도지만 이번에도 정부는 용적률 거래 시 가격 결정을 어떻게 할지 가이드라인을 내놓지 않는 등 보완점은 찾아보기 힘들다. 용적률을 사고팔아본 경험이 없는 상황에서 용적률 가치에 대해 건축주 간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이 쉽지 않을 수 있다. 또 제도의 부정적 효과에 대한 예방책도 포함하지 않았다. 이런 탓에 건축 투자활성화라는 기대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 의문이 나온다.
정부는 또 다른 핵심 과제로 산악관광진흥구역 제도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전체 산지의 약 70%를 숙박·휴양시설이 입지할 수 있는 대상 지역으로 지정한다는 계획이다. 이 또한 정부가 지난해 8월 투자활성화 대책에서 이미 발표한 내용이다. ‘산지관광특구제도’를 도입해 특구로 지정된 곳에서는 관련 규제를 일괄 해제해 산지에 휴양형호텔 등을 건설하겠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환경단체 반발에 부딪혀 관련법 개정이 무산된 바 있다.
정부는 산악관광진흥구역 제도를 도입하기 위해 올해 내에 관련법 제·개정을 추진한다는 계획이지만 이번에도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이번엔 환경 훼손 논란에 대기업 특혜 소지까지 더해진 형국이다. 정부는 이번 발표에서 3만㎡ 이상을 개발하는 사업자만 산지 개발 사업을 할 수 있도록 제한했다. 정부는 난개발을 막겠다는 취지라고 설명했지만 사실상 대기업에만 개발권을 주겠다는 의도 아니냐는 비난을 받고 있어 국회에서 관련법 제·개정이 쉽지 않을 수 있다.
핵심 대책이 현실성으로 시행되기 어려워 이번 투자활성화 대책의 효과가 제한적일 가능성이 높다. 정부는 2013년 5월부터 투자활성화 대책을 발표했고, 그 결과 설비투자는 같은 해 4분기까지 전년 동기 대비 상승률이 11.0%까지 올랐다. 그러나 지난해 세월호 사고 등으로 투자활성화 대책의 효과는 둔화되고 있는 추세다. 일각에서는 ‘재탕’ 투자활성화 대책을 반복적으로 발표하면서 그 효과도 감소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세종=윤성민 기자
woody@kmib.co.kr
[기획] 투자활성화 핵심 대책 ‘난관’… 제대로 될지 의문
입력 2015-07-13 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