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6기 이후 광주광역시가 추진 중인 군부대 이전사업이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국방부가 적극 나서지 않는 탓도 있지만 막대한 이전비용과 대체부지를 확보하는 게 쉽지 않기 때문이다.
광주광역시는 12일 “공군 제1전투비행단과 31향토사단, 무등산 방공포대, 평동 군 훈련장을 외곽으로 옮기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가 2025년까지 이전 목표를 세운 공군 제1전투비행단의 경우 ‘군 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에 따라 지난해 10월 이전 건의서를 제출했지만 국방부가 뚜렷한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군 공항 이전과 맞물린 이 사업은 국방부가 동의하더라도 당장 이전후보지 선정 단계부터 해당 주민들의 강한 반발이 예상된다.
2조원이 넘는 천문학적 이전비용도 넘어야 할 큰 산이다. 1955년 삼각동 일대에 터를 잡은 31향토사단 이전은 시가 2011년부터 국방부와 꾸준히 협의해 왔으나 답보상태다.
시는 지난해 1월 전북 35향토사단이 전주에서 임실로 주둔지를 옮기자 도심확대를 가로막는 31향토사단 외곽이전에 더 적극적으로 매달렸다. 지난해 3월에는 당시 김관진 국방부 장관과 31사단 이전에 공식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윤장현 광주광역시장이 지난해 9월 군부대 관할구청인 북구청을 처음 방문한 자리에서 “군부대 시설을 무조건 혐오시설로 보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 존치와 이전에 따른 경제성을 재검토하자”고 언급해 31향토사단 이전 논의는 사실상 중단됐다.
1966년부터 무등산 정상에 주둔 중인 방공포대를 옮겨야 한다는 여론은 2011년부터 무등산 정상인 천왕봉 해발 1187m 개방행사가 1년에 3∼4차례씩 간헐적으로 열리면서 고조됐다. 국방부도 지난해 무등산 방공포대 이전과 관련한 상생방안을 찾겠다고 화답했지만 이 사업 역시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이 밖에 평동 군 훈련장의 장성 상무대 이전도 2011년 육군보병학교와 이전 양해각서를 체결한 수준에 그치고 있다.
시 관계자는 “광주의 미래발전을 위해 도심확장에 장애가 되는 군부대는 반드시 외곽으로 이전해야 한다”며 “공군 제1전투비행단과 31사단은 주둔 중인 부지를 매각하면 충분한 이전 재원을 확보하게 될 것으로 낙관하고 있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광주시 군부대 이전사업 ‘동작그만?’
입력 2015-07-13 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