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와 새누리당이 새 진용을 갖춰 거부권 정국으로 꽉 막힌 당청 관계 회복에 시동을 걸었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0일 현기환 전 의원을 청와대 정무수석에 임명한 데 이어 새누리당도 14일 의원총회를 열어 원유철, 김정훈 의원을 각각 새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으로 선출키로 함으로써 표면적으로는 갈등을 봉합하는 모양새를 갖췄다. 새누리당이 불가피하게 친박·비박의 갈등을 불러올 표 대결이 아닌 합의추대 방식으로 원내대표단을 선출키로 했다는 점에서 그렇다.
이번 청와대와 새누리당 인사의 방점은 소통에 있다. 박 대통령이 유승민 전 새누리당 원내대표 사퇴 이틀 후에 무려 두 달 가까이 비워뒀던 정무수석을 임명한 것은 청와대의 대여·대국회 메신저 필요성을 비로소 절감했다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대여·대국회 창구인 정무수석의 장기 부재가 국회법 사태를 불러온 한 요인이었다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
현 신임 수석은 대통령과 가까운 친박계이나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호형호제하는 사이이고, 이병기 대통령 비서실장은 인선 과정에서 김 대표 의견을 물었다고 한다. 청와대가 김 대표와 당을 배려한 흔적이 엿보인다. 새누리당 인사 역시 마찬가지다.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에 추대된 두 의원 모두 비박계로 분류되나 계파색이 옅어 친박계와 소통이 잘 이뤄질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김 대표는 14일, 박 대통령은 다음달 25일 임기 반환점을 맞는다. 새로운 일을 벌이기보다 이미 추진 중인 일을 매듭짓는 데 진력해야 하는 시기에 접어든 것이다. 박 대통령은 전국 단위 선거가 없는 올해를 경제와 민생에 초점을 맞춘 국정과제 실현과 공공 등 4대 부문 개혁과제 추진의 적기로 삼았지만 무엇 하나 제대로 이룬 게 없다. 더욱이 메르스 사태 와중에 조성된 거부권 정국은 국민들로 하여금 정부·여당이 과연 침체된 경제를 살리고 개혁을 완수할 능력이 있는지에 대한 의구심을 갖게 만들었다.
내년은 20대 총선이 있는 해여서 올 하반기가 대통령이 소신껏 국정을 펼칠 수 있는 사실상 마지막 기회라 할 수 있다. 이 기회를 살리기 위해서는 유기적인 당청 관계가 필수조건이다. 박 대통령과 김 대표가 서둘러 만나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사설] 당청 새 진용, 막중한 책임의식 가져야
입력 2015-07-13 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