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정국’을 돌파한 박근혜(사진) 대통령이 새로운 청와대 진용을 짜고 다시 한번 국정운영 ‘엔진’에 동력을 재충전했다. 두 달 가까이 공석이던 정무수석에 현기환 전 의원을 임명하며 틀어졌던 당청 관계 회복의 계기를 마련했기 때문이다.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온 박 대통령의 임기 반환점에 맞춰 일단 청와대와 새누리당의 진용개편 작업이 동시에 이뤄지는 양상이다. 새누리당은 유승민 전 원내대표 후임 선출과 김무성 대표 2기 당직체제가 이번 주에 출범한다.
현 수석 인선 과정에서는 김 대표와 이병기 청와대 비서실장 사이에 긴밀한 의사소통도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이 단절 상태였던 당청 관계를 복원하겠다는 신호탄을 쏘아올린 셈이다.
청와대가 먼저 손을 내밀자 집권여당도 이에 호응하는 모양새를 취할 전망이다. 우선 비교적 계파 색채가 옅은 원유철 전 정책위의장의 원내대표 합의 추대가 확실시된다. 주요 당직도 그동안 소외돼 왔던 친박 의원들에게 일정 부분 배려하면서 친박과 비박(비박근혜)의 조화를 이룰 것이라는 말도 나온다.
청와대는 이 같은 당청 ‘조화’를 동력삼아 공공·노동·금융·교육 등 4대 부문 개혁과제 재추진에 나설 태세다. 전국 단위 선거가 없는 올해 경제 활성화에 반드시 성공하겠다는 각오다.
메르스 사태와 가뭄 등 ‘돌발성 악재’들이 사라져가는 상황도 박 대통령과 청와대의 국정 드라이브에 동력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당정청회의를 통해 국회에 계류 중인 민생 법안들을 처리하고, 경기 부양책 등 다양한 정책 수단도 동원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메르스 늑장대응 책임을 묻는 것을 기점으로 박근혜정부 3기 내각을 출범시킬 개연성도 있어 보인다.
청와대의 한 참모는 12일 “박 대통령이 여당을 강하게 비판했던 것은 당시의 당청으로는 아무 일도 못한다는 위기의식에서 나온 것”이라며 “올해 반드시 성과를 내야 한다는 절박감도 있었던 만큼 당청은 성과 창출에 집중할 것”이라고 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정무수석 인선 당과 조율, 국정 드라이브 동력 마련… 朴 대통령도 ‘당청 관계 회복’ 시동
입력 2015-07-13 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