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강제 노동 부정… 한국, 이의 제기 없었다”

입력 2015-07-11 02:45 수정 2015-07-11 17:53
서청원 새누리당 의원(오른쪽 다섯 번째) 등 한일의원연맹 소속 의원들이 10일 일본 도쿄 총리관저에서 아베 신조 총리(왼쪽 세 번째)와 면담하고 있다. 앞서 의원들은 일한의원연맹과의 합동 총회에서 식민지 지배와 침략을 사죄한 무라야마 담화가 일본의 전후 70년 담화에 반영되도록 노력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주일한국대사관 제공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10일 조선인 강제노동 사실을 인정하지 않은 기시다 후미오 외무상의 발언에 대해 한국 정부가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이날 중의원 안보법제 특별위원회에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 때 일본 정부 대표 성명에 있었던 ‘forced to work(노동을 강요당했다)’라는 문구는 대상자의 의사에 반해 징용된 경우도 있다는 의미로 사용한 것”이라며 “한국 정부는 기시다 외무상이 기자회견에서 말한 것(‘forced to work’가 강제노동을 인정한 것은 아니라는 발언)이 잘못됐다고 한 번도 말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는 또 한국 측이 ‘forced to work’ 등 일본 측 성명 내용을 징용 배상 소송에서 활용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명확히 밝혔다고 주장했다.

중의원 특위에 함께 출석한 기시다 외무상도 전쟁 시기 ‘국민 징용령’에 의한 한반도 출신자 징용은 ‘강제노동에 관한 조약’이 금지하는 ‘강제노동’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주장을 폈다.

이에 대해 우리 정부 당국자는 “영문 발언문이 정본이라는 것은 일본 측도 잘 알고 있을 것”이라며 “영문 발언문은 그 자체로서 논란의 여지없이 (강제노동) 의미가 명백하므로 다른 해석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또 일본 정부에 대한 이의제기 문제와 관련, “우리 측 입장은 이미 공개적으로 여러 차례 밝힌 바 있으며 이제 중요한 것은 일본이 발언문을 통해 국제사회에 밝힌 대로 이행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종선 조성은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