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김상곤 혁신위원회’가 10일 당 대표 직위까지 박탈할 수 있는 ‘당원소환제’와 당비대납 근절방안 등의 내용을 담은 제3차 혁신안을 발표했다. 당 안팎에서는 ‘신당설’과 관련한 신경전도 벌어져 뒤숭숭한 분위기가 이어졌다.
혁신위가 제안한 당원소환제는 선출직 당직자가 속한 지역(당 대표는 전국)의 당원들이 당직자의 소환을 요구하면 형식 요건과 소환 사유를 판단해 소환투표에 부칠 수 있도록 했다. 해당 당직자의 직위는 당원 과반수가 찬성하면 박탈된다. 또 무통장입금 금지 등 당비납부 절차를 강화해 ‘종이 당원’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대의원을 당원이 직접 선출토록 했다.
이와 함께 2차 혁신안 가운데 당 대표가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장을 임명토록 해 비주류의 강한 반발을 샀던 규정을 “최고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당 대표가 임명한다”로 수정했다. 김상곤 혁신위원장은 “당헌상 최고위 의결을 거치게 돼 있는데 당 대표가 일방적으로 임명하는 것으로 오해하는 분들이 있어 명시했다”고 설명했다.
혁신위는 현재까지 발표한 혁신안이 오는 20일 중앙위원회를 “무난히 통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반발 여론이 점점 커지고 있다. 주승용 의원은 혁신위와의 간담회에서 “(헌법 개정 수준의 혁신안을) 열흘 만에 중앙위에서 의결해 달라는 건 무리”라며 “문재인 대표가 전권을 줬다 해도 헌법까지 바꿀 권한을 준 건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비주류 진영의 다른 3선 의원들은 “당 대표가 현직 의원 물갈이를 좌우할 평가위 구성권을 가지는 것이 말이 되느냐. 이런 평가를 왜 하느냐”며 불편한 심기를 숨기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무소속 천정배 의원은 전날 새정치연합을 탈당한 당원들에 대해 “당을 나왔던 점에서는 나와 같다. (이들을) 배제할 이유가 없다”며 협력 가능성을 내비쳤다. 주 의원도 “(집단 탈당은) 하나의 전조”라며 “문 대표가 앞으로 당을 어떻게 운영하느냐에 따라 신당이 생길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최재성 사무총장은 CBS라디오에서 “(현역 의원의 이탈이 없는) 탈당을 신호탄으로 해석하기는 무리”라고 일축했다. 강기정 정책위의장도 “신당, 분당 주장은 내년 총선에서 자신들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한 분열주의”라고 비판했다.
한편 친노(친노무현)계로 분류되는 최인호 혁신위원이 조경태 김경협 의원에 대한 당 윤리심판원의 징계 결정을 “지극히 정치적인 판결”이라고 비판하는 글을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려 파장을 예고했다. 일각에서는 계파 갈등을 타파해야 할 혁신위원이 갈등을 촉발할 수 있는 발언을 하는 것이 부적절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새정치연합 3차 혁신안 발표] 선출직 당직자 소환제 도입… 지역 대의원, 당원이 직접 선출
입력 2015-07-11 0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