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공석 53일 만인 10일 청와대 정무수석을 임명한 것은 앞으로 ‘포스트 유승민 정국’에서 당청 관계를 정상화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보인다. 유승민 전 원내대표 재임 당시 당과의 정책조율 등 소통을 전면 차단했던 상황에서 벗어나 본격적으로 소통을 재개하겠다는 포석이라는 의미다.
◇당청 관계 정상화 시도 의지=현기환 신임 정무수석 임명은 유 전 원내대표 사퇴 이틀 만에 이뤄졌다. 2개월 가까이 이어졌던 공무원연금 개혁안 논란, 국회법 개정안 문제, 유 전 원내대표 거취 논란 속에서도 당청 소통을 아우르는 정무수석이 공석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그만큼 박 대통령의 당청 관계 복원 의지가 강하다는 뜻이 읽힌다. 다만 대표적인 친박(친박근혜) 인사를 정무수석에 임명하면서 앞으로 새누리당에 박 대통령의 구상을 적극적으로 주입하겠다는 의미라는 시각도 있다.
현 수석은 2007년 한나라당(새누리당 전신) 대선후보 경선 때 ‘박근혜 캠프’에서 대외협력부단장을 지냈고, 이듬해 18대 국회(부산 사하갑)에 원내로 진출한 이후 4대강 사업 등 이명박정부의 정책을 비판하는 데 앞장섰다. 19대 국회에선 불출마 후 ‘총선 공천헌금 의혹’에 연루돼 당에서 제명됐으나 검찰 수사 결과 무혐의 처분을 받은 뒤인 2013년 4월 복당했다. 올해 초 원외로 있으면서도 청와대 정무특보 후보군으로도 꾸준히 거론됐던 현 수석은 내년 20대 총선에도 불출마할 것으로 보인다.
현 수석은 같은 부산 출신인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도 가깝다. 그런 만큼 당청 간 가교 역할에 적극적으로 임할 것으로 청와대와 여당은 기대하고 있다. 김 대표는 “현 전 의원은 아주 정치력이 있는 초선 의원이었고, 정치권과 두루두루 교류가 많으며 협상력도 갖춘 사람”이라면서 “정무수석에 적임자”라고 평가했다.
◇이산가족 생사확인 행정지원 검토=박 대통령은 오전에는 청와대에서 통일준비위원회 민간위원 토론회를 주재했다. 이 자리에서 박 대통령은 이산가족 문제가 가장 시급하다는 데 공감하고 “이산가족들의 전면적인 생사 확인을 위해 필요하다면 행정적 지원방안 등을 검토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언어·문화 합치 및 민족역사 복원을 위한 교류, 비무장지대(DMZ) 세계생태평화공원 조성, 경원선 복원 착공 및 나진·하산 물류사업 성공 등 기존 대북정책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또 미국·쿠바의 국교정상화, 이란 핵문제 해결을 “변화와 협력이 국제사회의 큰 흐름임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한 뒤 “이제 남은 것은 지구상 유일하게 남아 있는 한반도 분단의 역사를 마감하는 것이고, 그 변화를 북한도 계속 외면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朴, 정무수석 임명… ‘포스트 유승민 정국’ 당청관계 정상화 의지
입력 2015-07-11 0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