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신당론이 확산되고 있다. 4·29재보선 때 광주에서 무소속으로 당선된 천정배 의원과 새정치민주연합 박지원 김한길 의원, 정대철 상임고문, 박준영 전 전남지사 등이 군불을 지피고 있다. 그러나 신당 창당에 성공하려면 정치적 명분이나 간판 인물이 뚜렷이 부각돼야 하는데 현재로서는 그 점이 미약하다.
야권에서 신당론이 불거진 가장 큰 이유는 새정치연합 내 친노 세력에 대한 호남민심 이반이다. 호남정치 복원을 선언한 천 의원의 광주 당선이 기폭제가 됐다. 친노 패권주의는 야당 지지자들을 등 돌리게 하는 악재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그것이 새정치연합을 깨고 신당을 만들 정도의 명분이 되긴 어렵다. 1980년대 민주한국당을 깬 신한민주당 창당과 신한민주당을 깬 통일민주당 창당은 민주화와 대통령 직선제 개헌이라는 국민열망이 뒷받침됐기에 성공할 수 있었다.
현 시점 신당론자들은 입만 열면 ‘전국적 중도정당’을 말한다. 하지만 그것이 진심인지 의문스럽다. 당권을 장악한 친노 세력에 밀려 총선 공천을 받지 못할 가능성을 염려하는 사람이 다수 포함돼 있다. 이들은 2017년 대선에는 별 관심이 없는 듯하다. 호남 유권자를 등에 업고 국회의원이라는 기득권을 지키고자 신당 창당에 기대를 걸고 있다는 비판을 받기 십상이다. 대선주자가 눈에 띄지 않는 것도 신당의 전도를 어둡게 한다. 천정배나 박지원은 결코 김대중을 대신할 수 없다.
새정치연합이 내년 총선과 이후 대선에서 이기려면 기존 세력의 화해·협력, 참신한 외부인사 수혈, 국민 친화적 노선 설정을 서둘러야 한다. 김상곤 혁신위원회도 이에 집중하는 것이 옳다. 신당 창당은 새정치연합의 분열, 나아가 호남야당과 영남야당의 대립을 뜻한다. 이는 국민통합을 저해할 뿐 아니라 총선에서 수도권 참패를 가져올 가능성이 없지 않다. 그것은 전체 야당 지지자들에 대한 배신이다.
[사설] 야권 신당론, 기득권 지키겠다는 꼼수 아닌가
입력 2015-07-11 0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