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회가 현행 최고위원제도와 당 사무총장 직제를 폐지하는 파격적인 내용의 2차 혁신안을 8일 발표했다. 계파별 기득권 다툼의 전쟁터로 지목된 최고위원회의를 지역·직능·세대별 대표자 회의로 전환하자는 주장이다. 민생 정당으로 가기 위해 꼭 필요한 방안이라는 게 혁신위 생각이지만 당내 평가는 엇갈리고 있다.
김상곤 혁신위원장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계파 권력 배분과 힘겨루기장으로 변질된 현행 최고위원제를 폐지한다. 그리고 권력 다툼의 대상이 된 사무총장제 폐지를 통해 당무 기구는 계파가 아닌 당을 위해 일하는 조직으로 변모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과두(寡頭)적’ 최고위원제에서 ‘민주적’ 대의지도체제로 전환되면 계파 기득권 싸움 양상으로 펼쳐졌던 당내 정쟁이 직능·세대별 정책 다툼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게 혁신위 생각이다.
혁신위는 사무총장 직제를 없애고 대신 ‘총무본부장’ ‘조직본부장’ 자리를 신설하기로 했다. 당 실무와 조직 운영을 총괄했던 사무총장의 권한을 분산시켜 공천 영향력을 줄이겠다는 의도다.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 세부 구성안도 발표됐다. 위원회는 위원장을 포함해 15명 이내로 구성된다. 전원 외부 인사다. 평가위원장은 당 대표가 임명하며 평가위원은 위원장의 추천을 받아 대표가 임명한다. 혁신위 구성 방식과 동일하다. 2년 임기의 위원들은 두 차례 평가를 하게 된다. 평가 내용은 공천 심사에 반영된다.
혁신안이 파격적인 내용을 담은 만큼 당내 평가도 엇갈렸다. 비주류 진영은 문재인 대표의 권한 강화를 우려했다.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 전원에 대한 임명권이 당 대표에게 주어지기 때문이다. 반면 주류 진영은 ‘혁신위가 계속해서 문 대표의 입지를 좁히고 있다’는 입장이다. 혁신 내용이 파격적인 만큼 이를 통과시켜야 하는 문 대표가 난처한 상황에 빠질 거란 해석이다. 새로 설치될 본부장직 인선도 부담이다.
당 지도부는 혁신안을 존중하자는 입장이지만 우려도 표명했다. 문 대표는 “혁신안을 존중한다”면서도 “걱정되는 부분도 있는 게 사실”이라고 밝혔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기본적으로 존중한다”면서도 “완성도가 좀 떨어진 것 같다”고 말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새정치, 파격적 ‘2차 혁신안’ 발표] 김상곤 “힘겨루기 온상 최고위원·사무총장제 폐지”
입력 2015-07-09 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