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증시가 연일 폭락세를 보이면서 그리스 사태를 능가하는 글로벌 시장의 화약고로 떠오르고 있다. 상장사 절반이 거래정지를 신청하는 등 비관론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빚을 내 주식에 투자하는 신용거래 과잉이 증시 추락의 직접적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8일에도 전날보다 6% 가까이 폭락했다. 지난달 12일 연고점인 5178.19포인트를 기록한 이래 이날 현재까지 불과 3주 만에 무려 30% 이상 급락하는 등 롤러코스터 장세를 보였다.
중국 중앙은행이 지난해 11월 2년여 만에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인하한 이후 주가는 본격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중국 언론 등에 따르면 약 9000만명의 개인투자자들이 정부의 잇단 부양책,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출범 등을 호재로 여기며 주식시장에 뛰어들었다.
신용거래는 증시 호황에 기름을 부은 격이 됐다. 5월 한 달에만 1200만개의 신규 증권 계좌가 개설됐는데 대부분은 증권사들로부터 빚을 내 주식에 투자하는 신용거래를 이용한 것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달 15일 기준 중국 증시의 신용거래 규모는 2조2100억 위안(약 400조원)이다.
하지만 중국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24년 만의 최저 수준을 나타냈다. 실물 지표와 괴리된 주식시장의 호황은 거품을 양산할 수밖에 없다. 이달 초 과열 부작용을 우려한 중국 증권감독위원회(CSRC)가 개인투자자의 신용거래 규제를 강화키로 했다. 이에 개인의 매도와 증권사들의 반대매매(주식을 강제로 파는 것)가 속출했으며 이는 다시 시장 심리를 악화시키는 등 악순환을 보였다.
이에 따라 상하이와 선전 증시에 상장된 2800여개 기업 가운데 8일까지 1400여개 기업이 거래정지를 신청했다고 홍콩 봉황망이 이날 밝혔다. CNN머니는 7일 베스포크 인베스트먼트 그룹 집계를 인용해 중국 증시 파동으로 3조2500억 달러가 증발했다며 프랑스 증시 전체와 맞먹는 규모라고 설명했다.
중국 당국은 시장 심리를 호전시키고자 각종 대책을 동원하고 있다. AP 등 외국 통신사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국영기업들에 주식을 팔지 말고 추가로 더 매입하라고 촉구했으며 중국 보험감독위원회는 주식에 투자할 자산 비중을 현 30%에서 40%로 늘리겠다고 이날 발표했다.
그러나 중국 증시를 둘러싼 비관론은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캐피털 이코노믹스의 애널리스트 마크 윌리엄스는 보고서에서 “중국의 비상조치 효과는 펀더멘털을 결코 뛰어넘을 수 없어서 일시적”이라며 “시간이 지날수록 실패로 확인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고세욱 기자 swkoh@kmib.co.kr
中 증시 지뢰밭… 상장사 절반 “거래 중지”
입력 2015-07-09 0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