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사망자가 8일 만에 2명 추가돼 모두 35명으로 늘었다. 치사율은 18.8%로 높아졌다. 보건 당국은 메르스 확진자의 객담(가래)·소변 등 검체와 치료 기록, 역학조사 자료 등을 데이터베이스(DB)화해 국가 연구자원으로 활용키로 했다.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는 8일 브리핑에서 “전날 177번 환자(50·여)가 숨진 데 이어 오늘 오전 133번 환자(70)가 사망했다”고 밝혔다. 177번 환자는 림프종과 결핵 등 기저질환(지병)을 갖고 있었다. 133번 환자는 기저질환은 없지만 고령으로 고위험군이었다고 대책본부는 설명했다.
메르스 추가 확진자는 사흘째 나오지 않았다. 치료 중인 환자는 32명이다. 이 중 8명이 불안정한 상태다. 격리자는 전날보다 137명 증가해 811명이 됐다.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질병예방센터장은 “삼성서울병원 치료 환자 15명을 국가지정병원으로 옮긴 뒤 이들을 진료한 의료진 등 490명을 순차적으로 2주간 자택격리하면서 격리자 수가 늘었다”고 했다.
대책본부 권덕철 총괄반장은 국가연구자원 기반 구축과 관련해 “향후 감염병의 신속 진단, 치료제·백신 개발 등 국내외 연구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부는 감염병에 신속 대응하기 위해 예방의학 등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학생 감염병 대책팀(TF)’을 이달 중 만들어 상시 가동키로 했다.
메르스 사망자 유족들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병원 등을 상대로 첫 소송을 제기한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9일 서울중앙지법 등에 소장을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병원에는 민법 750조의 불법행위 책임을, 국가에는 국가배상법에 의한 공무원 불법행위 책임을 물을 예정이다.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메르스 사망자 8일 만에 2명 추가 35명으로 늘어
입력 2015-07-09 0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