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8일 긴급 의원총회를 열고 유승민 원내대표의 거취 문제를 결정하기로 했다. 유 원내대표 거취 문제에서 촉발된 여권의 내분이 더 이상 장기화돼서는 안 된다는 위기의식 때문으로 풀이된다. 새누리당이 의총에서 유 원내대표 거취와 관련한 결의안 채택을 시도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따라 지난달 25일 박근혜 대통령의 ‘배신의 정치’ 발언으로 야기됐던 ‘유승민 거취’ 정국이 13일 만에 유 원내대표의 사퇴로 끝맺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그러나 비주류 의원들을 중심으로 반발하는 움직임이 있어 긴급 의총이 순탄하게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유 원내대표가 물러난다 하더라도 여권의 계파 싸움이 멈추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새누리당은 7일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개최하고 유 원내대표 거취 문제를 논의했다. 김무성 대표는 긴급 최고위회의 직후 “8일 오전 9시 의총 소집을 요청했다”면서 “최고위회의에서 ‘새누리당의 미래와 박근혜정권의 성공을 위한 원내대표 사퇴권고 결의안’ 채택을 위한 의총을 개최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사퇴권고 결의안 결정 방식과 관련해 “가능하면 표결로 가지 않도록 노력하겠다”면서 “결의문을 만들어 의총에서 발표하고 의원들의 동의를 구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유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8일 의총에는 참석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의총이 사퇴 결의안 형식으로 치러지는 데 대해 “방식에 대해서는 전혀 관여할 생각이 없다”고 강조했다. 또 “무엇이든 의총 결정을 따를 계획”이라고 했다. 이어 결의안이 논의되기 전 거취에 대한 입장을 밝힐 계획이 없음을 시사했다. 하지만 유 원내대표가 의총이 끝난 후 당청 갈등 등에 대해 자신의 심경을 토로할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새누리당 지도부는 유 원내대표가 버티기에 들어갔다고 판단하고 의총 형식을 빌려 유승민 거취 정국에 종지부를 찍겠다는 의도를 감추지 않았다. 특히 친박(친박근혜)계와 김 대표 측이 유 원내대표의 사퇴가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어 결의안 채택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비주류 의원들은 유 원내대표의 사퇴를 논의하기 위한 의총 소집에 반대하며 불참까지 고려하고 있다고 반발했다. 이들의 주장이 받아들여져 의총 안건이 ‘원내대표 사퇴권고 결의안 채택의 건’에서 ‘유승민 원내대표 거취에 관한 논의의 건’으로 변경되는 등 진통을 겪었다.
새누리당 내부에서는 재신임 여부와 관련해 표결을 실시하면 내전(內戰)이 폭발할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 그러나 결의안 채택에 대해 결론을 내지 못할 경우 표 대결까지 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
[관련기사 보기]
유승민의 시계, 7월 8일 9시 ‘알람’… 與, 유승민 거취 결의안 채택
입력 2015-07-08 0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