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의 선택] 사퇴 권고 결의?… ‘유승민 파동’ 막 내리나

입력 2015-07-08 02:38
새누리당 비박(비박근혜)계 의원들이 7일 국회 의원회관에 모여 8일로 예정된 유승민 원내대표 거취 논의를 위한 의원총회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이병주 기자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 진퇴 여부가 8일 의원총회에서 결론나게 됐다. 박근혜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여당 원내사령탑’에 대한 강한 불신을 표출해 거취 논란이 불거진 지 2주 만이다. 김무성 대표는 신임 표결까지 가지 않고 원내대표 사퇴권고 결의안을 채택해 유 원내대표가 물러나도록 한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 초강수 퇴진 압박이다.

◇의총서 사퇴로 가닥, 劉 수용으로 가나=7일 오전 10시 예정에 없던 긴급 최고위원회의가 열렸다. 전날 밤 김 대표 주선으로 7명의 최고위원들이 따로 만나 논의한 결과였다. 비공개 회동에 당연직 최고위원인 유 원내대표는 없었다. 친박(친박근혜)이 정한 사퇴 시한(6일)이 지나도 유 원내대표는 입장 변화가 없고 사태가 장기화 조짐을 보이자 당사자를 제외한 최고위원들이 나선 것이다. 이번 사태를 촉발시킨 국회법 개정안이 자동 폐기되는 것으로 일단락됐다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 “이제 더 이상 시간을 끌어선 곤란하다”는 분위기가 형성됐다.

유 원내대표는 긴급 최고위 회의가 시작되고 20분 만에 먼저 자리를 떴다. 그는 회의장을 나오면서 “제가 더 이상 있을 이유가 없고 의총 결정에 따르겠다”고 했다. 이어 20분 뒤 김 대표가 회의 결과를 브리핑했다. 의총에서 사퇴권고 결의안을 발표하고 의원들의 동의를 구하겠다는 내용이었다. 유 원내대표 사퇴를 반대해 온 비박(비박근혜)은 즉각 반발했다. 사퇴를 기정사실화한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안건명이 ‘유승민 원내대표 거취에 관한 논의의 건’으로 바뀌었다. 사퇴권고 결의안이 의총 안건으로 상정된다면 이는 새누리당에서 전례가 없는 일이다.

현재로선 의총에서 찬반 토론 후 표결 없이 사퇴 쪽으로 의견을 모을 것이란 관측이 많다. 의견이 모아지지 않으면 김 대표가 직접 나서 정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 원내대표가 “의총 전 입장표명은 없고, 어떤 결정이 나오든 따르겠다”고 밝힌 만큼 자진사퇴는 현실성이 없다. 비박 의원들의 반발이 거세 결론을 내리지 못하거나 자유토론 후 결국 표결로 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표 대결에 들어가면 어떤 결과가 나오든 박 대통령과 유 원내대표는 씻기 힘든 정치적 타격을 받게 된다.

◇“劉 사퇴는 끝이 아니라 시작”=유 원내대표가 물러나는 것으로 여권 내홍이 마무리된다고 보는 사람은 없다. 당장 원내대표 보궐선거를 치러야 한다. 새누리당 당규는 원내대표가 임기 중 사퇴하면 7일 이내에 의총에서 선거로 새로 선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계파 갈등이 다시 불붙을 가능성이 있다. 친박 원내대표를 세우려는 움직임만큼 비박의 반감이 커져 여권 내부가 더 불안정해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원내대표 선출은 1년도 안 남은 총선 공천과 연결된 문제여서 양보와 타협이 쉽지 않은 문제다. 김 대표의 2기 당직 개편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