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 진퇴 여부가 8일 의원총회에서 결론나게 됐다. 박근혜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여당 원내사령탑’에 대한 강한 불신을 표출해 거취 논란이 불거진 지 2주 만이다. 김무성 대표는 신임 표결까지 가지 않고 원내대표 사퇴권고 결의안을 채택해 유 원내대표가 물러나도록 한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 초강수 퇴진 압박이다.
◇의총서 사퇴로 가닥, 劉 수용으로 가나=7일 오전 10시 예정에 없던 긴급 최고위원회의가 열렸다. 전날 밤 김 대표 주선으로 7명의 최고위원들이 따로 만나 논의한 결과였다. 비공개 회동에 당연직 최고위원인 유 원내대표는 없었다. 친박(친박근혜)이 정한 사퇴 시한(6일)이 지나도 유 원내대표는 입장 변화가 없고 사태가 장기화 조짐을 보이자 당사자를 제외한 최고위원들이 나선 것이다. 이번 사태를 촉발시킨 국회법 개정안이 자동 폐기되는 것으로 일단락됐다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 “이제 더 이상 시간을 끌어선 곤란하다”는 분위기가 형성됐다.
유 원내대표는 긴급 최고위 회의가 시작되고 20분 만에 먼저 자리를 떴다. 그는 회의장을 나오면서 “제가 더 이상 있을 이유가 없고 의총 결정에 따르겠다”고 했다. 이어 20분 뒤 김 대표가 회의 결과를 브리핑했다. 의총에서 사퇴권고 결의안을 발표하고 의원들의 동의를 구하겠다는 내용이었다. 유 원내대표 사퇴를 반대해 온 비박(비박근혜)은 즉각 반발했다. 사퇴를 기정사실화한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안건명이 ‘유승민 원내대표 거취에 관한 논의의 건’으로 바뀌었다. 사퇴권고 결의안이 의총 안건으로 상정된다면 이는 새누리당에서 전례가 없는 일이다.
현재로선 의총에서 찬반 토론 후 표결 없이 사퇴 쪽으로 의견을 모을 것이란 관측이 많다. 의견이 모아지지 않으면 김 대표가 직접 나서 정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 원내대표가 “의총 전 입장표명은 없고, 어떤 결정이 나오든 따르겠다”고 밝힌 만큼 자진사퇴는 현실성이 없다. 비박 의원들의 반발이 거세 결론을 내리지 못하거나 자유토론 후 결국 표결로 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표 대결에 들어가면 어떤 결과가 나오든 박 대통령과 유 원내대표는 씻기 힘든 정치적 타격을 받게 된다.
◇“劉 사퇴는 끝이 아니라 시작”=유 원내대표가 물러나는 것으로 여권 내홍이 마무리된다고 보는 사람은 없다. 당장 원내대표 보궐선거를 치러야 한다. 새누리당 당규는 원내대표가 임기 중 사퇴하면 7일 이내에 의총에서 선거로 새로 선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계파 갈등이 다시 불붙을 가능성이 있다. 친박 원내대표를 세우려는 움직임만큼 비박의 반감이 커져 여권 내부가 더 불안정해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원내대표 선출은 1년도 안 남은 총선 공천과 연결된 문제여서 양보와 타협이 쉽지 않은 문제다. 김 대표의 2기 당직 개편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관련기사 보기]
[유승민의 선택] 사퇴 권고 결의?… ‘유승민 파동’ 막 내리나
입력 2015-07-08 0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