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의 선택] ‘의총 전야’ 새누리 어수선

입력 2015-07-08 02:52
국회 운영위원장을 맡고 있는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7일 오후 운영위 전체회의를 주재하기 위해 회의실로 들어서며 시계를 보고 있다. 8일 오전 9시에는 유 원내대표 거취 문제를 논의하는 긴급 의원총회가 열린다. 이병주 기자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 거취 문제를 놓고 당 의원들은 소속 계파별로 분주한 움직임을 보였다. 지역 및 선수별로 회동이 연달아 열리고 장외 설전이 벌어지는 등 어수선한 분위기가 연출됐다.

친박(친박근혜)계 중심의 충청권 의원들은 7일 오전 9시30분 국회 의원회관에서 긴급 연석회의를 열고 유 원내대표 사퇴를 촉구했다. 중진인 이인제 최고위원과 정우택 국회 정무위원장을 비롯해 홍문표 경대수 김태흠 김현숙 박덕흠 박창식 이장우 정용기 의원 등 10명이 대거 참석했다. 이들은 “당정청이 혼연일체가 돼 국정을 안정적으로 이끌기 위해선 유 원내대표가 대승적 차원에서 스스로 거취를 표명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오전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원내대표 사퇴권고 결의안’ 채택을 위한 의총이 결정되자 이번엔 비박(비박근혜)계 의원들이 움직였다. 조해진 원내수석부대표와 김학용 대표비서실장, 강석호 박민식 김성태 황영철 김세연 이한성 안효대 박상은 정미경 의원 등은 오후 1시30분 의원회관에서 비공개 회동을 가졌고, 이 자리에 김무성 대표가 예고 없이 찾아와 의견을 나눴다.

재선 의원들은 김 대표에게 “사퇴권고 결의안 명칭 자체가 결론을 미리 정해두고 의총을 여는 것”이라며 반발했다. 박민식 의원은 “원내대표 진퇴 문제는 의총 전권 사항이고 최고위 권한 사항이 아니다”며 “최고위에서 결론을 내고 의총은 형식적으로 추인하는 자리라면 본질적 의미가 퇴색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김 대표는 이런 의견을 최고위원들에게 전한 뒤 의총 안건 명을 ‘유 원내대표 거취에 관한 논의의 건’으로 바꿨다.

공개 논평도 쏟아졌다. 비주류 맏형 격인 이재오 의원은 페이스북에 “결정은 최고위가 해놓고 청와대 말 한마디에 희생양을 원내대표에게 뒤집어씌우는 건 정치·도의적으로 파렴치하다. 물러나야 할 사람들은 최고위원들”이라고 주장했다. 정두언 의원도 보도자료를 내고 “최고위는 원내대표의 책임을 묻기 전 스스로 책임져야 했음에도 아무 근거 없이 초유의 해괴한 결정을 내렸다”고 했다. 김용태 의원 역시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하는 자유·끝장토론과 표결이 있어야 한다”고 가세했다.

전웅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