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근대 산업시설의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 결정으로 마무리되는 듯했던 한·일 외교전이 ‘2라운드’에 접어들었다. 강제노동 인정 여부를 두고 양국이 국제사회를 무대로 여론몰이에 나서는 모양새다.
외교부는 7일 홈페이지(www.mofa.go.kr)에 팝업창 형식으로 “일본 산업시설 세계유산 등재에 ‘의사에 반해 강제로 노역한 역사’를 반영”이라는 메시지를 올렸다. 이와 함께 영상 등 관련 자료 및 사토 구니(佐藤地) 주유네스코 일본대사의 영문 발언록을 첨부했다.
사토 대사는 연설에서 “다수의 한국인(a large number of Koreans)이 의지에 반해 강제로 일을 했다(brought against their will and forced to work)”고 말했으며, 우리 정부는 이를 일본이 강제 노동 사실을 인정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하지만 일본 측은 이 표현이 강제노동을 인정한 건 아니라는 논리를 국제사회에 적극 홍보하고 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한국인들의 노역이 국제법상 금지된 강제노동이 아니라는 점을 양자 및 다자 외교 차원에서 각국에 전달할 방침이다.
그러나 일본의 주장에 국제사회는 싸늘한 분위기다. 마이크 혼다 미국 연방 하원의원은 6일(현지시간) 일본의 강제노동 부인을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부의 전형적인 역사 호도”라며 “일본은 (세계유산에 등재된) 이 시설의 역사에 대해 정직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본 내에서조차 같은 비판이 나온다. 중도 성향인 마이니치신문은 7일자 사설에서 “한반도 출신자가 이직(離職)의 자유 없이 중노동을 강요당한 역사에 일본은 눈을 감아선 안 된다”고 밝혔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외교부 ‘日 세계유산 강제노역 반영’ 홈피 게재… 日은 국제사회에 ‘강제 노동 아니다’ 홍보 방침
입력 2015-07-08 0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