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에 외국인 유학생 전용학과 개설한다… 교육부 ‘유학생 유치 확대 방안’

입력 2015-07-08 02:15

우리나라 대학에 외국인 유학생만 다니는 학과가 만들어진다. 외국인 유학생이 국내 기업에 손쉽게 취업할 수 있도록 ‘대학-기업 연계 시스템’도 확대된다. 정부가 학령인구 감소로 위기에 빠진 대학을 살리기 위해 유학생 유치에 팔을 걷어붙인 것이다.

그러나 대학의 국제 경쟁력 향상과 같은 근본 처방이 없어 ‘언 발에 오줌 누기’라는 지적이 나온다. 대학 등의 반발로 대학 정원을 줄이기 어려워지자 유학생 유치라는 장밋빛 청사진만 내놨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교육부는 7일 ‘유학생 유치 확대 방안’을 국무회의에 보고했다. 2023년 유학생 20만명 유치를 목표로 대학의 유학생 유치·관리 역량 강화, 우수 지방대 유학생 유치 활성화, 유학생 유치 지원 및 기반 구축 등 3대 과제를 제시했다.

기본 구상은 IT·조선·원자력·자동차 등 국제 경쟁력을 갖춘 분야에 맞춤형 교육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한국의 발전 경험을 체계화해 개발도상국 공무원 등을 유학생으로 유치할 생각이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유학생으로만 구성된 학과(부)를 개설할 수 있도록 고등교육법 시행령을 개정하기로 했다. 예를 들어 A대학에 조선해양공학과가 있다면 정원 외로 유학생을 받아 유학생 전용 조선해양공학과를 개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전공필수·핵심교양 과목은 유학생 전용강의, 전공선택·일반교양 등은 국내 학생과 공동강의를 듣는 방식이다.

또 유학생 취업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국내에서 인력을 구하기 어려운 직종을 골라 유학생 채용을 원하는 국내 기업과 연결해주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국내 청년들이 주로 취업하는 분야와 겹치지 않도록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실효성이 있을지는 의문이다. 매년 정부는 유학생 유치방안을 내놨으나 허사였다. 국내 유학생 수는 2011년 8만9537명을 정점으로 4년 연속 감소해 지난해 8만4891명까지 떨어졌다. 유학생의 57%가 수도권에 있고, 유학생이 많은 10개 대학은 모두 서울 소재 대학이다. 유학생의 국적도 중국(59%)에 편중됐다.

한 지방 국립대 교수는 “교육부가 대학구조 개혁이 어려워지자 유학생으로 수요를 창출하겠다는 건데 대학의 국제 경쟁력 확보 방안 없이는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