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신종 전 광물자원공사 사장 집 압수수색… 희토류 개발 비리 본격 수사

입력 2015-07-08 02:05

이명박정부 시절 큰 주목을 받았다가 이내 생산성이 없는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줬던 강원도 양양 희토류(稀土類) 개발 비리와 관련해 검찰이 본격 수사에 착수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부장검사 임관혁)는 7일 오전 김신종(65·사진) 전 광물자원공사 사장의 서울 자택에 검사와 수사관들을 파견해 휴대전화, 컴퓨터 하드디스크 등을 압수했다. 검찰은 또 광물공사 국내탐사사업팀을 압수수색해 양양철광 재개발 사업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 광물공사 압수수색은 지난 2월 검찰의 자원개발 비리수사 착수 이후 처음이다.

검찰은 광물공사가 2010년 12월 양양철광 재개발을 목적으로 설립된 특수목적법인(SPC) 대한광물에 투자하는 과정에서 희토류 경제성 검토 결여 등 여러 문제가 있다고 보고 배경을 살피고 있다. 광물공사는 2010년 11월 언론을 통해 “양양 지역에서 폐철광석 광산을 재개발하다 대규모 희토류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광물공사와 함께 대한광물 설립에 투자한 에이앤씨바이오홀딩스(현 스포츠서울)는 2011년 3월 “광물공사를 통해 조사된 매장 희토류는 14종으로 추정” “매장량은 25만t으로 25조원 가치”라는 보도자료를 내기도 했다.

대한광물에 투자한 에이앤씨바이오 등은 주가가 급등했다. 하지만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재개발은 중단됐다. 당시 거액의 시세차익을 올린 스포츠서울 김광래(52) 대표는 주가조작 혐의로 올해 초 구속 기소됐다.

검찰은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의 자살로 중단됐던 광물공사의 암바토비 니켈광산 개발비리에 대해서도 수사를 재개한다. 김 전 사장은 2010년 경남기업의 암바토비 니켈광산 지분(2.75%)을 고가에 사들여 광물공사에 100억원대 손실을 끼친 혐의도 받고 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