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건강을 위협하는 불량식품을 시중에 대거 유통시킨 업체가 또 적발됐다. 송학식품 대표 등은 지난해 6월부터 올해 1월까지 대형마트나 재래시장 등지에 대장균과 식중독균이 검출된 떡볶이·떡국용 떡 등 180억원어치를 버젓이 판매했다. 더욱이 이 업체는 지방자치단체의 단속에 걸려 대장균 등이 검출된 제품의 회수 명령을 수차례 받았지만 제대로 제품을 거둬들이지 않았다. 어떻게 그런 제품들이 계속 판매될 수 있었는지 의아할 따름이다. 이들 식품은 국민들이 즐겨 먹는 것이어서 당국의 허술한 관리·감독을 질타하지 않을 수 없다.
3년 연속 떡 부문 시장점유율 1위인 이 업체는 조작한 서류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해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까지 받았다. 또 지난해 8월에는 보관 중인 쌀 2500포대에 나방 애벌레가 대량 발생하자 폐기처분하는 대신 맹독성 살충제로 박멸한 뒤 유통시킨 사실도 밝혀졌다. 이 업체의 도덕적 해이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떡 2700㎏을 납품받은 한 업체가 자체 조사해 대장균이 많이 나오자 모두 반품했지만 이를 폐기하지 않고 복지시설이나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운영되는 푸드뱅크에 내놓기도 했다. 이웃을 돕겠다고 고아원이나 양로원 등에 내놓은 떡이 불량식품이었던 셈이다.
소식을 접한 국민들의 분노는 현재 하늘을 찌르고 있다. 이 업체 홈페이지는 소비자들의 폭주가 이어져 마비된 상태고, ‘송학식품’은 7일 오후까지 인터넷 실시간 검색어 1위에 올랐을 정도다. “영원히 식품업계에서 퇴출시켜야 한다”는 의견도 쏟아지고 있다. 메르스 종식을 눈앞에 둔 시점에서 국민 건강을 또다시 해치는 이런 업체는 일벌백계로 다스려야 한다. 박근혜 대통령도 성폭력·학교폭력·가정파괴범과 함께 불량식품을 척결해야 할 4대 악으로 규정했다. 불량식품 업체들을 뿌리 뽑겠다는 각오로 강도 높은 단속이 이어져야 하겠다.
[사설] 메르스 겨우 수습 중인데 대장균 떡볶이떡 유통이라니
입력 2015-07-08 0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