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전북, 또 금강 하굿둑 해수유통 갈등

입력 2015-07-07 02:02
충남도와 전북도가 금강(錦江) 하굿둑의 해수유통 여부를 놓고 또다시 갈등을 빚고 있다. 충남도는 금강의 오염을 막기 위해 하굿둑의 해수유통을 주장하지만, 전북도는 확실한 대안이 없는 한 해수유통 추진은 절대 불가하다고 맞서고 있다.

충남도는 연안·하구 생태복원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도내 279개의 방조제와 폐염전, 해안사구 등의 현황조사를 위한 용역을 실시하고 있다고 6일 밝혔다. 연안·하구 생태복원 사업은 간척사업으로 생긴 제방이나 육지화한 땅을 이전 상태로 돌려놓는 이른바 역간척(逆干拓)사업을 말한다.

충남도는 내년 8월까지 이 연구용역을 마칠 계획이다. 충남도는 금강의 녹조 발생 등 오염 원인이 해수유통이 막혀 있기 때문이라고 보고, 오염해소 방안의 하나로 이 같은 용역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안희정 충남지사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금강하구의 건강한 생태환경을 위해 장기적으로 부분개방, 전면개방 등 해수유통이 필요하다”며 “중·하류 지역의 재해예방과 장항항 기능회복을 위해서도 배수갑문 확장 등 하굿둑 개선사업이 조속히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전북도는 “금강하굿둑 건설 목적이 훼손돼서는 안 되며 현재 수준 이상의 확실한 농업·공업용수 확보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 한 해수유통 논의는 절대 불가하다”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전북도는 해수유통 시 전북지역 내 농지 4만3000㏊에 대한 농업용수(3억5400만t)의 공급 차질은 물론 1억2100만t에 달하는 공업용수 확보에 심각한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취수장을 상류로 이전하면 그동안 7000억원 가까이 투입해 설치한 양수장과 용수로가 무용지물이 되고, 영농 보상 문제 등 엄청난 사회적 비용이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강승구 전북도 농축수산식품국장은 “금강호 수질 악화의 주요 요인은 상류지역 유입 지류인 갑천과 미호천의 수질 악화 때문이지 단순히 해수유통 탓이 아니다”며 “2012년 국토교통부 용역에서도 용수 확보 대안 부재, 치수 대책 등 다양한 문제점이 부각돼 해수유통은 불가한 것으로 결론이 났다”고 말했다.

전북 군산시와 충남 서천군을 잇는 금강하굿둑은 부족한 농·공업용수 공급을 위해 1990년 10월 준공됐다. 군산시와 서천군도 해수유통 문제를 놓고 몇 년째 마찰을 빚고 있다. 이 같은 논란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충남과 전북지역에서 더욱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