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는 거취 문제에 대해 입을 다물고 원내대표로서 현안에 몰두하고 있다. 7월 임시국회 때 메르스와 가뭄 피해 극복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안을 처리하겠다는 의지를 밝히며 ‘사퇴 의사 없음’을 우회적으로 내비치기도 했다.
유 원내대표 주변에선 그가 현재 국면을 정면돌파하겠다는 뜻이 분명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유 원내대표는 당장 7일 국회 운영위원회회의도 예정대로 진행하겠다고 공언했다.
유 원내대표는 5일 서울역에서 기자들과 만나 추경 예산안을 처리할 때까지 직을 유지할 것이냐는 질문에 “그 문제는 답변 드리지 않겠다”고 했다. 지역구인 대구를 방문하고 올라오는 길이었다. 친박(친박근혜) 의원들이 유 원내대표 재신임을 묻기 위한 의원총회 소집을 추진하고 있는 데 대해선 “소집 요구서가 정당하게 오면 여는 것도 생각해보겠다”고 했다. 원내 관계자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유 원내대표가 국회법 개정안 처리 후 입장을 낼지는 정해진 게 없다”면서도 “거취는 언급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유 원내대표는 지난달 25일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로 열린 당 의총에서 사실상 ‘재신임’ 결론이 났고, 이후에도 상황이 바뀐 게 없다는 입장이다. 원내부대표단은 물론 상당수 비박(비박근혜) 의원들도 유 원내대표에게 힘을 실어주고 있다. 비박계 의원들은 6일 본회의 전 별도 회동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유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한 세력 결집이 이뤄지고 있는 셈이다.
이들은 ‘배신의 정치’를 언급한 박근혜 대통령 발언이 정계개편의 신호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갖고 있다. 유 원내대표 사퇴가 친박의 당권 장악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유 원내대표를 친박 공세의 최전선에 놓인 ‘바리케이드’로 보는 분위기가 있다. 한 의원은 “수도권 재선 의원들을 중심으로 원내 지도부를 향한 ‘응원’ 문자가 쇄도하고 있다”며 “유 원내대표의 결단은 이미 개인적 차원을 넘어섰다”고 말했다.
여론조사에서 ‘사퇴론이 잘못됐다’는 평가가 우세하게 나타나면서 ‘명분 싸움’에서 승기를 잡았다는 해석도 나온다.
그러나 유 원내대표가 여권 내홍을 매듭짓는 차원에서 결국에는 거취를 정리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전망도 여전하다. 당청 분열을 매듭짓지 못할 경우 내년 총선에서 공멸할 것이라는 우려도 확산되고 있다. ‘당의 화합’과 ‘국회법 개정안 폐기의 책임’이라는 명분을 쌓고 사퇴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관련기사 보기]
유승민의 선택은… 추경 처리 등 강한 의지, 오늘 거취 언급 안할 가능성
입력 2015-07-06 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