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 거취를 둘러싼 여권의 내홍이 6일 중대 분수령을 맞는다. 이번 사태를 촉발시킨 국회법 개정안이 본회의 상정→새누리당 표결 불참으로 자동 폐기되면 유일하게 남은 화약고는 유 원내대표 사퇴 여부가 될 전망이다.
사퇴 시한을 이날로 못 박은 친박(친박근혜)계는 일대 결전을 준비하고 있다. 재선의 한 친박 의원은 5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6일 본회의에서 국회법 개정안이 폐기되면 유 원내대표의 역할도 끝난다”며 “계속 버티면 물러나지 않고는 못 배기게 하겠다”고 했다. 이어 “유 원내대표 사퇴론이 봇물 터지는 정도가 아니라 쓰나미처럼 몰아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친박이 당장 실행에 옮길 수 있는 압박 카드는 최고위원 동반 사퇴다. 유 원내대표 한 명 때문에 최고위원 4명이 그만두는 상황까지 가야 되느냐는 식의 여론전을 펼치겠다는 것이다.
현재 최고위원 8명 가운데 서청원 김태호 이인제 이정현 의원이 유 원내대표의 사퇴를 강하게 주장한다. 동반 사퇴 시점은 최고위회의가 열리는 9일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압박에 유 원내대표가 물러나면 러닝메이트인 원유철 정책위의장 자리도 공석이 돼 친박이 최고위를 사실상 장악하는 효과가 있다. 최고위원 사퇴는 김무성 대표를 겨냥한 메시지이기도 하다. 김 대표가 계속 머뭇거리면 지도부를 흔들어 전당대회를 다시 치르게 하겠다는 ‘협박’인 셈이다.
조기 전대와 함께 나오는 이야기가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조기 복귀설이다. 다만 아직은 물밑에서 거론되는 정도다. 현 시점에서 차기 당 대표 운운하는 것이 김 대표를 자극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와 관련, 최 부총리는 MBC 방송에 출연해 “경제가 엄중한 상황이어서 여의도로 돌아갈 생각을 할 겨를이 없다”고 했다.
변수는 당내 여론이 얼마나 뒷받침되느냐다. 친박에겐 유 원내대표의 사퇴를 못 박을 기회가 두 번 있었지만 모두 무산됐다. 지난달 25일 박근혜 대통령이 국회법 개정안에 대해 재의를 요구한 직후 열린 의원총회와 29일 긴급 최고위회의가 그것이다.
의총에서 대다수 의원들은 유 원내대표를 재신임했고, 최고위는 결론을 못 냈다. 친박의 시나리오가 계속 빗나가면서 ‘유승민 사태’가 장기화 국면에 접어든 측면이 있다.
친박의 공격이 강해질수록 유 원내대표를 지키려는 비박의 움직임도 커질 수밖에 없다. 한 의원은 “의원들 밑바닥 정서엔 그동안 일부 친박이 당론을 좌지우지한 데 대한 불만이 깔려 있다”며 “순리를 거스르면 오히려 친박이 고립될 것”이라고 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관련기사 보기]
유승민, 오늘 사퇴 시한… 정국 안갯속
입력 2015-07-06 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