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주요 6개국 ‘핵 협상’ 관련 경제 제재 풀기 잠정 합의

입력 2015-07-06 02:50
이란의 핵무기 개발을 막기 위한 주요 6개국(P5+1, 유엔 안보리 5개 상임이사국+독일)과 이란 간 협상의 타결이 임박했다는 ‘신호’가 잇따라 나오고 있다. 당초 6월 30일로 예정됐던 협상시한은 7일까지로 1주일 연기된 상태다.

CNN방송 등은 이란과 주요 6개국이 협상의 주요 쟁점이던 경제 제재 해제에 대해 잠정 합의했다고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협상에 정통한 소식통은 미국을 위시한 중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주요 6개국과 이란 측 전문가들이 이란의 제재 해제를 위한 부속문서에 합의했다고 전했다.

제재 해제는 양측 전문가 수준에서 합의된 것으로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과 무함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 등 7개국 장관의 승인은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

AP통신은 부속문서가 잠정 합의 수준이지만 “이란이 수백억 달러의 경제적 혜택을 받는 대신 10년간 핵 프로그램을 제한하는 포괄적인 합의에 한발 더 다가섰다”고 평가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과 AFP통신 등은 협상에 관여한 핵심 관계자들을 인용해 며칠 사이 양측이 쟁점 사안에서 상당한 진전을 봤다고 보도했다. WSJ는 이란에 대한 서방의 제재 철회 일정 및 이란의 과거 핵개발 시도에 대한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조사 등에 대해 진전이 있었다고 전했다.

무함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은 3일 유튜브에 게시한 영상을 통해 지금처럼 핵협상이 타결에 접근한 적이 없었다면서 핵협상에서 강압과 압박을 중단하라고 말했다.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은 난제가 남았다면서도 진전이 있다고 말했다. 한 서방 외교관은 로이터 통신에 “협상이 끝을 향해 가고 있고 7일 시한을 넘길 계획은 없다. 합의를 하거나 못하거나 둘 중 하나”라고 말했다. 러시아 협상단장인 세르게이 랴브코프 외무차관도 합의문 90% 이상이 완성됐다고 전했다.

그러나 한 미국 당국자는 협상이 막바지에 이르렀다면서도 타결이 임박했다면 협상이 7일을 넘기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고 말했다고 로이터는 보도했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bwbae@kmib.co.kr